초록배경 및 목적: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태블릿 PC의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AAC 어휘 경로 유형이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어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이 만 4;0-6;8세인 경도 지적장애아동 13명을 실험집단으로, 지적장애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3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3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방법은 각각의 어휘 경로 유형(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서 정확도 평가를 실시한 후, 동시에 제시된 어휘 경로 유형(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서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AbstractObjectives: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Korean children with norm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ystems with different language organizations.
Methods:Thirty-nin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3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age 4 to 6, 13 chronological age-matche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CA-N), and 13 language age-matche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LA-N). Participants were asked to locate AAC vocabulary items using either category-based or place-based language organization. They performed two tasks: an accuracy testing task and a preference testing task. The 27 items (18 items for accuracy test and 9 items for preference test) were selected from lists of words frequently used by young children. All vocabulary items were concrete nouns.
Results: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the groups (ID, CA-N, and LA-N) and types of AAC language organization (categorical vs. placed-related). The ID and LA-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ffects in the placed-related organization than categorical, while the CA-N group did no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language organization preference test.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은 말과 언어의 표현 및 이해에 심각한 장애를 보이는 사람들에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촉진하도록 보완하거나, 대체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ASHA], 2005a). 여기에서의 심각한 장애는 말 산출 기제의 문제로 인해 구어산출이 불가능하여 대체적인 의사소통수단이 필요한 경우도 해당되지만, 제한된 구어사용으로 인해 보완적인 의사소통 수단이 필요한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Beukelman과 Mirenda (2013)는 AAC를 통해 혜택을 입을 수 있는 장애아동으로 말운동장애(말실행증)아동, 뇌성마비아동, 자폐범주성장애아동, 지적장애아동, 농맹아동을 제안하였다. 특히 지적장애아동에게 AAC를 적용할 때는 그 아동의 언어능력, 의사소통 및 사회성, 전반적인 발달패턴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지적능력이 많이 떨어지는 지적장애아동의 경우 처음부터 너무 복잡한 프로그램이나 의사소통판을 제시하기보다는 아동의 인지 수준에 맞는 상징이나 어휘를 포함하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Kim, 2014).
2001년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적장애의 출현율은 세계적으로 1%-3% 정도로 알려져 있다. 지적장애를 지닌 아동들이 말로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는 학령기 인구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Matas, Mathy-Laikko, Beukelman, & Legresley, 1985)는 것을 여전히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장애 정도와 상관없이 AAC팀이 이들에게 의사소통 서비스를 전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점 더 받아들여지고 있다(ASHA, 2003, 2005b; National Joint Committee for the Communication Needs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2003).
최근 들어 국내외에서는 컴퓨터나 앱 기반 AAC 프로그램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고 지적장애아동들에게도 이러한 하이테크 AAC 사용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 및 태블릿 장치의 사용에 관한 연구가 주로 개인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잘 구축된 전략을 사용하는 목적은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및 다른 발달장애군이 통신 및 AAC를 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고 하였다(Sigafoos, O’Reilly, Lancioni, & Sutherland, 2014). 한편, Light와 Drager (2007)의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진 아동은 도구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경우 AAC 도구를 사용하게 될 확률이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아동들의 선호도나 효율성이 높은 역동적 디스플레이 AAC를 사용하는 어려움 중 하나는 목표 어휘를 시스템 내에서 찾는 경로에 대한 이해이다. AAC의 경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내 숨겨진 페이지의 개념적 모델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고, 어휘의 숨겨진 페이지와 메뉴 페이지에 사용된 표상 사이의 관계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중도장애 아동에게 어려울 수 있다(Drager, Light, Speltz, Fallon, & Jeffries, 2003; Reichle, Dettling, Drager, & Leiter, 2000).
AAC 체계에서 제시되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고정 디스플레이와 역동적 디스플레이, 그리고 혼성 디스플레이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데(Beukelman & Mirenda, 2013), 최근 기술의 발달로 점차 다양한 상업용 AAC 제품들이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있다. Drager 등(2004)은 3세 아동을 대상으로 메뉴 화면에서 경로화할 때 네 가지 화면의 스크린샷을 이용하는 역동적 디스플레이와 네 개의 어휘 격자가 있는 전통적 디스플레이, 전통적 메뉴 페이지를 가진 전통적 격자 디스플레이의 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은 경로를 거쳐야 할 때, 메뉴 페이지에 스크린샷이 있는 역동적 화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때 더 정확하게 어휘를 찾았고, 전통적 메뉴 디자인을 가진 전통적 격자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것에 가장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Light (1992)는 여러 화면에 걸쳐 어휘 경로를 배열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위계적 범주에 따른 분류학적 경로, 사건 도식에 따른 도식적 경로, 철자에 따른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는 어휘 경로, 개인적 경험 및 사고에 따른 고유한 어휘 경로로 나누어 화면에 배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어린 아동이 어휘 개념을 어떻게 경로화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장애가 없는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장애가 없는 성인의 인지 모델이 정상발달 아동의 인지 모델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Light, 1993; Light & Drager, 2002; Light & Lindsay, 1991). 또한, 정상발달 아동들 사이에도 연령에 따라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발달적 차이를 보여주는데, 나이가 더 어린 아동은 도식적 경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학령기가 되어 위계적 분류 기술을 학습하게 된 아동은 분류학적 경로를 사용하기 시작한다고(Bauer & Mandler, 1989; Krackow & Gordon, 1998; Lucariello, Kyratzis, & Nelson, 1992) 한다. 이때, 아동들의 어휘 선택 경로는 서로 다른 도식으로부터 추출된 항목들이 함께 묶여서 분류학적 범주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개념의 재경로는 더 상위의 인지 기술을 필요로 하고, 성인의 교수와 개인의 언어 경험에 영향을 받는 것처럼 보인다(Nelson, 1996).
위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는 장애가 없는 성인과 정상 아동의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한 현재의 어휘 경로 모델이 실제 AAC의 잠재적 사용자인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아동의 어휘 경로 모델과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즉 현재의 컴퓨터 기반 AAC에서 사용하는 어휘 경로는 장애가 없는 성인이나 정상발달 아동의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AAC 내의 표현, 프레젠테이션, 구조, 언어 개념의기술은 일반적으로 어린 아동들의 개념적 모델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Light, 1993; Light & Drager, 2002; Light & Lindsay, 1991).
AAC와 관련된 연구는 현재 북미 및 유럽지역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국제 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SSAC)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크게 AAC를 개발하는 과정에 관련된 연구(예: 어휘표현, 사진 선택, 기자재 선택 등), 다양한 의사소통 기구 및 방법들의 효율성에 관한 비교 연구, 서비스 전달 체계와 정책적인 문제에 관한 연구 등으로 나누어진다(Park, 1996). 이 중에서도 어휘표현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특정 대상 집단이 필요로 하는 핵심어휘(core vocabulary)들을 조사하거나 적절한 어휘 선정 기준 및 절차들에 관한 연구들이 주종을 이룬다(Beukelman, McGinnis, & Morrow, 1991; Beukelman & Mirenda, 1992; Stuart, Vanderhoof, & Beukelman, 1993). 이들 연구결과들은 또한 실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체계(상징 세트, 어휘 선택용 소프트웨어 등)를 제작하는 과학적 기초로 유용하게 사용된다(Park, 1996)고 하였다. Fried-Oken과 More (1992) 및 Stuart 등(1993)에 의하면 어휘 목록들은 사용자의 연령 및 장애 특성에 따라 개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AAC 영역에서 꾸준하게 이루어지는 연구 중 하나가 어휘 수집과 그 선택에 관련된 것이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어휘연구로는 뇌성마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AAC체계를 위한 기초어휘 조사(Park, 1996), 정신지체 학생의 지역사회 기능에 필요한 기능적 어휘목록개발 연구(Park, 1999), AAC체계 적용을 위한 상황중심 핵심어휘 개발 연구(Lee & Park, 2000), 보완·대체의사소통판에서의 핵심어휘와 상황어휘 적정 비율에 관한 연구(Park &Kim, 2003), 학령기아동의 학교 상황 어휘 연구(Lee, Kim, & Park, 2005)등이 있다(Kim, Park, & Min, 2003). 이처럼 AAC용 어휘조사의 필요성이 연구를 통해서 지적되어 왔고 말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AAC가 점차로 많이 사용되고(Park, Kim, & Kim, 2008) 있으며, 보완대체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AAC 사용자에 따른 어휘 연구의 필요성은 더 강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아동이 어휘를 습득하고 AA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을 포함한 언어적 개념과 어휘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아동의 개인적인 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한 AAC는 지적장애를 비롯한 복합적인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아동들에게 어휘 사용을 위해 초과된 용량의 기술을 요구하게 되므로 언어 발달을 가로막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태블릿 PC의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AAC의 어휘 선택 경로(범주적 배열, 공간적 배열)가 일반 및 지적장애아동의 어휘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즉, 지적장애 아동들이 생활연령 및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정상발달 아동들과 비교하였을 때 어휘 선택 경로를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지적장애아동이 실제로 AAC를 사용할 때 목표 어휘를 표현하기 위해 어휘 선택 경로의 구조화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지적장애 및 일반 아동 집단) 간 어휘 선택 경로(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 따른 어휘표현의 정확도에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집단(지적장애 및 일반 아동 집단) 간 어휘 선택 경로(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 따른 어휘표현의 선호도에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 방법연구 참여자본 연구는 생활연령이 만 4;0-6;0세인 경도 지적장애아동(이하 ID) 13명을 실험집단으로 하며, 이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이하 CA-N) 13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이하 LA-N) 13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총 3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구체적인 정보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지적장애아동연구에 참여한 지적장애아동은 (1)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 Kaufman & Kaufman, 1983; Moon & Byeon, 1997)의 동작성 인지검사 척도로 측정한 정신연령이 -1.5 표준편차 이하에서 -3 표준 편차 이상(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09)에 속하며, (2)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Hong, Kim, & Kim, 2009; Kim, Hong, Kim, Jang, & Lee, 2009; Kim, Lee, Hong, Kim, & Jang, 2009)로 측정한 수용언어연령이 -2 표준편차 이상 지체에 속하고, (3) 감각장애나 정서적인 문제가 없으며, (4) 연구 수행을 위해 검사자의 지시를 이해하고 상징(그림)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동들로 구성하였다.
일반아동지적장애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N)은 (1) 주 양육자 및 교사에 의해 정상 아동이라고 보고된 아동들로 (2) K-ABC의 동작성 인지검사 척도로 측정한 정신연령이 -1 표준편차 이상 수준이며, (3) 생활연령이 지적장애아동들과 일치하며, (4) REVT로 측정한 수용언어연령이 자신의 생활연령으로부터 6개월 이상 지체되지 않으며, (5) 연구 수행을 위해 검사자의 지시를 이해하고 상징(그림)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동들로 구성하였다.
지적장애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LA-N)은 (1) 주 양육자 및 교사에 의해 정상아동이라고 보고 된 아동들로 (2)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Kim, Hong, et al., 2009)로 측정한 수용언어연령이 지적장애아동과 원점수±6개월 내에서 일치하며, (3) 언어연령이 생활연령에 비해 12개월 이상 지체되지 않고, (4) 연구 수행을 위해 검사자의 지시를 이해하고 상징(그림)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동들로 구성하였다.
실험 과제실험 도구본 연구의 AAC 도구로는 보편적 설계 기반 PC로 장애아동들은 물론 다양한 사람들이 모두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 PC ATIV를 본체와 분리하여 태블릿 PC로 사용하였다. 이 태블릿 PC에 지식경제부 산하 ‘국민편익증진 기술개발사업(Quality of Life Technology, QoLT)’ 사업과제인 한국형 의사소통 콘텐츠 및 프로토콜로서 음성합성 기능을 가진 보완대체의사소통 프로그램 ‘마이토키’를 탑재하여 사용하였다.
마이토키의 말하기판은 8, 15 고정판과 45 가변판으로 되어 있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판의 구성을 달리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마이토키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8 가변판을 사용하였다.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목표어휘본 연구에서 훈련 및 평가 어휘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물로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Korean (K M-B CDI) 유아용(Pae & Kwak, 2011)에 수록된 어휘와 등급별 국어어휘용(Kim, 2003), 우리말 범주규준조사(Lee, 1991) 등을 참고하여 언어연령 만 2-3세 아동이 설명없이 어휘를 듣거나 상징을 보았을 때,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각 어휘 선택 경로에 해당하는 어휘 배열 및 어휘선별은 성인 30명에게 어휘 타당도를 실시하여 75% 이상 선택된 것들을 목표어휘로 사용하였다.
정확도 평가에서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목표어휘정확도 평가를 위해 선정된 목표 어휘는 명사 18개였다. 정확도 평가에서는 범주적 배열 세 가지(옷, 가구, 가전[전자] 제품)와 공간적 배열 세 가지(욕실[화장실], 부엌, 방)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경로 유형에서 배열된 목표 어휘는 2개씩이었다. 목표 어휘의 구체적인경로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선호도 평가에서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목표어휘선호도 평가를 위한 어휘는 명사 9개였다. 선호도 평가에서는 정확도 평가에서 사용하지 않은 범주적 배열 3개(교통[탈것], 사람, 음식)와 공간적 배열 3개(병원, 유치원, 바닷가)를 사용하였다. 목표 어휘의 구체적인 경로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연구 절차아동이 검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조용한 공간에서 한 명씩 개별적으로 질문하였고, 목표어휘에 대하여 충분히 생각하고 선택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다. 아동이 집중하지 못하거나 선택을 하지 않을 경우 질문을 반복하거나 상징을 보여주면서 태블릿 PC에 제시된 어휘 경로를 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본 실험은 각각의 어휘 선택 경로(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서 정확도 평가를 실시한 뒤, 선호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각 실험조건 사이에는 10분 정도의 시간을 두어 순서효과와 피로효과를 최소화였다. 이때, 전략 간, 단어 간 순서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아동별로 각 배열의 순서와 단어제시 순서를 무작위로 다르게 배치하였다. 단, 아동이 어휘를 이해하지 못할 경우, 미리 준비한 상징(그림)을 제시하여 아동의 이해를 돕고 목표 어휘에 대한 이름만 제시할 뿐, 이외의 설명은 피하였다. 과제유형 제시에 따른 실험절차의 흐름은 Figure 4에 제시하였다.
자료분석자료의 통계적 처리통계적 분석은 SPSS 1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정확도 점수는 세 집단(지적장애아동, 생활연령 일치한 일반아동, 언어연령 일치한 일반아동)에 따라 어휘 경로(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 따른 목표어휘표현의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어휘 경로의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인 항목에 대해서는 Tukey 사후 검정을 실시하고, 상호작용의 효과가 유의할 경우 대비검정을 실시하였다.
선호도 비율은 세 집단(지적장애아동, 생활연령 일치한 일반아동, 언어연령 일치한 일반아동) 간 어휘 경로(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 따른 목표어휘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 내에서 범주적 배열을 선택한 횟수에서 공간적 배열을 선택한 횟수를 나누어 얻은 값으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집단 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표현 정확도 차이집단 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표현 정확도의 상호작용이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2,33)=3.844, p<.05). 즉, CA-N 집단은 두 유형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ID 및 LA-N 집단은 범주적 배열보다 공간적 배열에서 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산출하였다. 집단 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표현 정확도에 상호작용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는 Figure 5와 같다.
집단 간 어휘표현 정확도 점수에서는 지적장애아동 집단(ID)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N)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N)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LA-N)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2,36)=6.430, p<.05). 즉, CA-N 집단에 비해 지적장애아동은 어휘 유형에 따른 정확도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산출하였고, CA-N 집단에 비해 LA-N 집단 아동도 어휘 유형에 따른 정확도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지적장애아동 집단과 LA-N 집단은 집단 간 어휘 유형에 따른 정확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표현 선호도 차이세 집단 간 평균 선호도 비율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N) 집단 1.15이고, 지적장애(ID) 아동 집단 .92,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LA-N) 집단 .71 순서로 나타났다. 세 집단 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표현의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의 범주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 선호도의 횟수를 분석하고 어휘경로에 대한 선호도 비율을 살펴본 결과, 집단 간 선호도 비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2,36)=1.680, p>.05). 세 집단 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표현의 차이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는 Figure 6과 같다.
논의 및 결론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했던 태블릿 PC의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AAC 어휘 선택 경로가 일반 및 지적장애아동의 어휘표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적장애아동 집단의 AAC 어휘표현 정확도는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또래 아동(CA-N)에 비해서는 떨어지지만,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어린 일반아동(LA-N)과는 비슷함을 보였다. 즉, 집단 간 AAC 어휘 경로 배열에 따른 정확도 점수에서 지적장애아동 집단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CA-N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인 반면,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LA-N 집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아동의 AAC 어휘표현력이 생활연령보다는 언어연령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AAC 어휘는 만 2-3세 아동이 알 수 있는, 쉬운 어휘에서 선별한 것들이다. 이러한 목표어휘에 대한 AAC 어휘표현 정확도에서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는 것은 연령을 고려하여 선별한 어휘라 할지라도, 태블릿 PC에서 제시된 어휘 선택 경로에 따라 범주화시킨 배열에서 목표어휘를 선택하는 것이 지적장애아동 집단과 어린 아동들(LA-N)에게 어려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정적 디스플레이 AAC에 비해, 역동적 디스플레이 AAC로 어휘를 선택할 때 더 많은 주의집중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학습 용량이 적은 장애아동(Blackstone, Williams, & Wilkins, 2007)이나 어린 아동들이 더 낮은 어휘선택 정확도를 보인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즉, 아동이 역동적 디스플레이 AAC를 사용하는 경우, 어휘가 한 화면에 모두 나타나지 않고, 첫 화면의 상위어만 보고 해당 어휘의 경로를 찾아가야 하기 때문에 아동의 주의 집중을 더 필요로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습용량이 적은 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이 어린 아동의 경우 더 나아가 나이가 많은 아동보다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어휘를 선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둘째, 집단과 어휘 선택 경로 유형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3세 수준의 어린 아동(LA-N)과 지적장애 아동은 범주적 배열보다는 공간적 배열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으나, 5세 수준의 또래 아동(CA-N)은 두 배열 간에 유사한 수행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적 어휘 선택 경로 유형이 상위의 인지기술을 요하므로 연령과 언어수준이 높아지면서 그 수행력이 좋아지는 것을 반영한다. 일반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 학령기가 되면 도식적 경로보다 위계적 분류 기술에 기반한 분류학적 경로를 더 사용한다고 보고하고 있다(Bauer & Mandler, 1989; Krackow & Gordon, 1998; Lucariello et al., 1992).
본 연구결과에서 지적장애아동과 어린 일반아동(LA-N)은 어휘선택경로에 따른 수행의 양상이 유사하였다 즉, 지적장애아동 집단과 LA-N 집단이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목표어휘를 찾을 때, 구조화된 위계적 질서에 따른 범주적 배열에서의 어휘표현보다 장소에 따른 공간적 배열에서의 어휘표현의 정확도가 더 높으므로 지적장애아동은 언어발달이 지체되어 있긴 하지만 어휘를 습득하고 사용하는 데 있어서 LA-N 집단과 비슷한 단계의 정상적 발달 과정을 거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각각 주어진 특정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집단 간의 정확도 점수는 범주적 배열보다 공간적 배열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지만, 동시에 제시된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집단 간의 선호도 점수로 분석한 선호도 비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CA-N 집단, 지적장애아동 집단, LA-N 집단 사이에는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표현 선호도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세 집단 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표현 선호도 비율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은 어휘를 조직화할 수는 있으나 완벽하게 조직화하여 분류된 범주를 선택하거나, 어휘를 표현하기 위해 특정한 어휘 선택 경로를 더 선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암시하였다. 이는 4-5세 일반아동들이 일반적인 위계적 범주에 따른 분류학적 경로나 사건 도식에 따른 도식적 경로를 모두 사용하여 어휘의 조직화를 배울 수 있다(Light et al., 2004)는 선행 연구에서처럼 비슷한 연령의 지적장애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아동들이 어휘를 조직화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어휘 선택 경로에서 위계적으로 조직화하여 분류한 배열이든, 사건과 경험에 의해 분류한 배열이든 일반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선호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일 만큼 더 선호하는 어휘 선택 경로의 배열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지적장애아동이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AAC를 사용할 때, 사건과 경험에 의해 분류된 공간적 배열에서 정확도가 더 높았으나 선호도에서 어휘 선택 유형에 따른 배열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어휘를 선택할 때 특정한 어휘 선택 경로에 한정하지 말고 아동의 연령이나 인지력 외에도 개인적인 특성과 경험을 고려하여 어휘 유형 경로에 따른 배열을 유연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대상자 수가 제한되어 있고 구문능력과 같은 관련 능력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제한점을 가진다. 또한 그림으로 표현되는 AAC 상징에 대한 개인의 선호도 및 AAC 경험 정도에 대한 변인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특히, 기기 사용의 경우 개별적 경험은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는 만큼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 시 태블릿 PC 경험 여부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 수나 장애의 정도, 개인적 상징 선호도 및 기기 경험 등을 통제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Table 1.
Table 2.REFERENCES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2005a).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 respect to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http://www.asha.org/policy/PS2005-00113/.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2005b).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n service delivery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developmental disabilities. http://www.asha.org/policy/PS2005-00106.htm.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2003). Position statement on access to communication services and supports: concern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restrictive “eligibility” policies. http://www.asha.org/policy/PS2003-00227/.
Bauer, PJ, & Mandler, JM (1989). Taxonomies and triads: conceptual organization in one-to two-year-olds. Cognitive Psychology, 21, 156–184.
Beukelman, D, & Mirenda, P (1992).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anagement of severe communicatio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ults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Beukelman, D, & Mirenda, P (2013).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and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4th ed .).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Beukelman, D., McGinnis, J, & Morrow, D (1991). Vocabulary selection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7, 171–185.
Blackstone, SW., Williams, MB, & Wilkins, DP (2007). Key principles underlying research and practice in AAC.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23, 191–203.
Drager, KD., Light, JC., Carlson, R., D’Silva, K., Larsson, B., Pitkin, L., ..., & Stoppe, G (2004). Learning of dynamic display AAC technologies by typically developing 3-year-olds: effect of different layouts and menu approach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 1133–1148.
Drager, KD., Light, JC., Speltz, JC., Fallon, KA, & Jeffries, LZ (2003). The performance of typically developing 2 1/2-year-olds on dynamic display AAC technologies with different system layouts and language organization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6, 298–312.
Fried-Oken, M, & More, L (1992). An initial vocabulary for nonspeaking preschool children based on developmental and environmental language sourc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8, 41–56.
Hong, KH., Kim, YT, & Kim, KH (2009). Content and Reliability analyses of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4, 34–45.
Kaufman, AS, & Kaufman, NL (1983). K-ABC: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Kim, KH (2003). Level-based vocabulary lists for Korean education Seoul: Pagijong.
Kim, YT (2014). Using AAC for children with speech-language disorders. AAC Research & Practice, 2, 1–22.
Kim, YT., Hong, KH., Kim, KH., Jang, HS, & Lee, JY (2009).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im, YT., Lee, JY., Hong, KH., Kim, KH, & Jang, HS (2009). Validity of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on preschool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8, 57–72.
Kim, YT., Park, HJ, & Min, HK (2003). School-aged children and adults’ core vocabulary for the development of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oo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8, 93–110.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Disabled person welfare law. Disabled person welfare law Seoul: Author.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09). Special education dictionary Seoul: Hawoo.
Krackow, E, & Gordon, P (1998). Are lions and tigers substitutes or associates? Evidence against slot filler accounts of children’s early categorization. Child Development, 69, 347–354.
Lee, JE, & Park, EH (2000). Development of ACC core vocabulary list: vocabulary selection strategies based on communication context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4, 96–122.
Lee, KY (1991). Datum: Korean Category Norms: survey on Exemplar Frequency Norm, Typicality, and Features.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3, 131–160.
Lee, YM., Kim, YT, & Park, EH (2005). A Preliminary study for the core and fringe AAC vocabulary us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 10, 134–152.
Light, J (1992). Cognitive science: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 Minisemina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San Antonio, TX.
Light, J (1993). Teaching automatic linear scanning for computer access: a case study of a preschooler with severe physical and communication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12, 125–34.
Light, J, & Drager, KD (2002). Improving the desig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technologies for young children. Assistive Technology, 14, 17–32.
Light, J, & Drager, KD (2007). AAC technologies for young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state of the scien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23, 204–216.
Light, J, & Lindsay, P (1991). Cognitive science an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7, 186–203.
Light, J., Drager, K., McCarthy, J., Mellott, S., Millar, D., Parrish, C., ..., & Welliver, M (2004). Performance of typically developing four-and five-year-old children with AAC systems using different language organization techniqu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20, 63–88.
Lucariello, J., Kyratzis, A, & Nelson, K (1992). Taxonomic knowledge: what kind and when. Child Development, 63, 978–998.
Matas, J., Mathy-Laikko, P., Beukelman, D, & Legresley, K (1985). Identifying the nonspeaking population: a demographic study.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 17–31.
Moon, SB, & Byeon, CJ (1997). K-ABC (Korean-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Seoul): Hakjisa.
National Joint Committee for the Communication Needs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2002). Supporting documentation for the position statement on access to communication services and supports: concern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restrictive “eligibility” policies. Communication Disorders Quarterly, 23, 143–151.
Nelson, K (1996). Language in cognitive development: the emergence of the mediated mind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ae, SY, & Kwak, GJ (2011).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Seoul: MindPress.
Park, EH (1996). Core vocabulary for nonverb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3, 1–25.
Park, EH, & Kim, YT (2003). A study of core and situational vocabulary Ratio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oar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 8, 111–126.
Park, EH., Kim, YT, & Kim, JY (2008). Paradise AAC assessment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Park, SH (1999). Development of an inventory of functional vocabulary for community functioning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3, 23–57.
Reichle, J., Dettling, E., Drager, K, & Leiter, A (2000). Comparison of correct responses and response latency for fixed and dynamic displays: performance of a learner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6, 154–16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