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동향: 2012년부터 2021년까지

Research Trends Regarding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Impairment of Infancy and Toddlerhood: From 2012 to 2021

Article information

Commun Sci Disord Vol. 27, No. 3, 445-467, September, 202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September 30
doi : https://doi.org/10.12963/csd.22920
aDepar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 Nazarene University, Cheonan, Korea
bDepar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zarene University, Cheonan, Korea
홍경훈a, 양희재b, 오은별b, 이루다,b
a나사렛대학교 언어치료학과
b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치료전공
Correspondence: Roodah Yi, M.A.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 Nazarene University, 48 Wolbong-ro, Seobuk-gu, Cheonan 31172, Korea Tel: +82-41-570-7868 Fax: +82-41-570-7846 E-mail: 201716002@slp.education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Korea Nazarene University Research Grants 2022.
Received 2022 July 5; Revised 2022 July 23; Accepted 2022 July 23.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연구를 대상으로 최근 10년간 영유아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 CSD (Communication Science & Disorders)와 영어권 학술지 JSLH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에 발표된 영유아 언어장애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대상, 시간관점, 관찰방법, 독립변인, 종속변인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각 유형의 출판 빈도 및 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두 학술지 모두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연구유형의 측면에서 몇 가지 차이가 있었다. 국내 연구는 횡단연구가, 영어권의 연구는 종단 연구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국내 연구는 대부분이 기술연구였으며 실험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권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독립변인들이 비교적 고르게 사용되었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특성과 관련된 독립변인들이 더 높은 비율로 사용되었다. 두 학술지 모두 종속변인으로 주로 표현언어와 관련된 변인들을 사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최근 10년간 국내 영유아 언어장애 관련 연구는 과거에 비해 연구 수와 연구유형의 다양성이 모두 증가하였으나, 영어권의 연구와 비교했을 때에는 여전히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의 영유아 언어장애 관련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rans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Korean and English research trends regarding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impairment,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later research.

Methods

Sixty-five Korea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Communication Science & Disorders and 129 English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time dimension, observational method,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The frequency and rate of publication of each type were yielded.

Results

Nearly half of the subjects were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research in the two journals. Cross-sectional studies had higher rates in Korean research, and longitudinal studies had higher rates in English research. In Korean journals, most articles were descriptive studies, with very few experimental studies. In English journals,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relatively evenly, whereas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used at higher rates in the Korean journals. Both journals mostly used variables associated with expressive language as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

Although more research has been published and the types of studies have become more diverse than in the past, during the recent decade in Korea the amount and types of studies are limited when compared to English research. In this regard,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in which future research related to infant language disorder should proceed.

영유아 시기의 의사소통능력은 이후의 언어 이해능력과 표현능력을 예측하는 지표가 된다(Armstrong et al., 2018; Lee & Lee, 2016). 또한 초기 언어능력은 사회, 인지, 정서와 같은 언어 외의 다양한 영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Aro, Eklund, Nurmi, & Poikkeus, 2012; Henrichs et al., 2013), 후기의 발달능력에 대한 예측요인이 되기도 한다(Alcock & Connor, 2021; Sansavini et al., 2021). 이와 같이 영유아기의 언어능력이 이후의 언어 및 다양한 발달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영유아기 언어발달에 대한 풍부한 연구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들은 언어치료 임상현장에서 이들의 평가 및 치료에 대한 임상적 지식을 획득하는 중요한 통로가 된다. 따라서 최근의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영유아기 언어발달과 관련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본 국내 연구로는 Kim과 Hong (2008), Kim, Lee와 Jo (2017)가 있다. Kim과 Hong (2008)은 1999년부터 2008년 10월까지의 국내의 주요 의사소통장애 학술지인『언어청각장애연구』와 국외의 관련 주요 학술지인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JSLHR)를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유형, 독립변인, 종속변인의 측면에서 국내외 연구 동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영유아기 언어 발달 관련 연구는 국외 연구에 비해 양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연구의 다양성이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일반 아동에 치중되었고, 연구유형도 기술연구와 실험연구 위주로 비교, 예측 및 중재와 같은 유형은 매우 부족하였으며, 종단적 연구도 매우 적었다. 독립변인도 주로 연령과 성별이 주를 이루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향후 영유아기 언어발달에 대한 국내 연구의 양적 증가와 질적 다양화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Kim 등(2017)은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2007년부터 2016년까지의 연구 중, 12개월에서 만 5세까지의 장애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Kim과 Hong (2008)의 연구와 달리, 영유아의 연령 범위를 비교적 광범위하게 정의하고,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역시 국내 연구의 연구대상과 연구유형 등의 제한성을 지적하고 다양화의 필요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최근 10년간의 국내와 국외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영유아 언어장애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과거 10년 대비 국내 연구의 변화와 실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영유아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관련 연구의 동향과 흐름을 분석하고, 국내 학술지인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CSD)와 국외 학술지인 JSLHR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 간 차이와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방향성을 살펴보고 국내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여 이후의 연구와 평가 및 중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Kim과 Hong (2008)의 연구를 바탕으로 201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국내외 두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들 중에서 만 3세 이하의 영유아가 대상인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와 관련된 연구들을 연구대상, 연구유형, 독립변인, 종속변인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

최근 10년간 영유아기 언어발달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언어병리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권 학술지 JSLH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과 국내 학술지 CSD (Communication Science & Disorders)에 출판된 연구들 중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연구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만 3세 이하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 만 3세 이하 영유아와 관련된 부모, 교사 등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모두 포함되었다. 만 3세 이하의 영유아와 함께 만 4세 이상의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4세 이상 집단이 한 집단인 경우에만 분석에 포함하고, 4세 이상 집단이 두 집단 이상인 경우에는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이러한 기준은 종단연구와 횡단연구 모두에 적용하였다. 또한 연구의 주 목적이 조음음운능력, 음성, 유창성 등 말 특성과 관련 있는 경우 분석에 포함하지 않았다. 이러한 기준을 토대로 JSLHR 129편, CSD 56편, 총 185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두 학술지의 연구논문 수를 출판 연도에 따라 Figure 1에 제시하였다.

Figure 1.

Number of publications.

분석 내용 및 기준

연구논문은 크게 연구대상, 시간관점, 관찰방법, 독립변인, 종속 변인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2000년대 초반의 영유아기 언어 장애 연구동향을 살펴본 Kim과 Hong (2008)을 참고하여 전반적인 분석 내용과 기준을 정하였다.

연구대상 분석

연구대상 유형은 각 연구에 포함된 실험 집단 대상자들의 장애 및 사례력을 바탕으로 분류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유형을 일반발달, 말늦은 아동, 청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언어발달지체, 격리 및 입양, 가족력, 기타로 구분하였는데, 최근 10년의 연구논문에 포함된 주된 연구대상과 과거 10년의 주된 연구대상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유형에서 격리 및 입양 유형을 제외하고 구개열, 이중언어/다문화, 미숙아 유형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대상 유형은 일반발달, 말늦은 아동, 청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언어발달지체, 구개열, 이중언어/다문화, 미숙아, 가족력, 기타, 총 10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구체적인 분류 기준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Types of subjects and criteria for classification

연구대상 유형의 분석 기준에서 대상자들의 장애 및 사례력에 대한 판단은 일차적으로 각 연구논문에 명시된 유형 명칭을 그대로 따랐다. 단, 3세 이하의 영유아 시기가 특정 장애들로 진단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시기라는 점과 배타적인 집단 분류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언어발달지체 유형에는 발달지체, 지적장애, 다운증후군 등을 진단받고 언어발달에서 지체를 보이는 아동들을 포함하였으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유형에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의심되는 것으로 보고된 경우를 포함하였다. 말늦은 아동 유형에는 late language emergence를 비롯해 말늦은 아동의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아동과 더불어, 다른 발달 영역에서의 결함이나 지체에 대한 보고 없이 언어발달에 지연이 있다고 보고된 경우가 포함되었다. 통제 집단 대상자의 유형은 분석에 포함하지 않았으며, 둘 이상의 연구대상 유형이 각기 다른 실험 집단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모두 분석에 포함하였다. 하나의 실험 집단에 둘 이상의 연구대상 유형이 집단 구분 없이 포함된 경우에는 각 유형을 나누어 분석하지 않고 기타로 분류하였다.

시간관점에 따른 분석

시간관점에 따른 유형은 종단연구와 횡단연구로 분류하였으며, 문헌연구와 같이 특정한 시간관점으로의 분류가 어려운 연구의 경우 기타로 분류하였다. 한 연구 논문에 종단연구와 횡단연구가 모두 포함한 경우 두 유형을 모두 분석에 포함하였다.

관찰방법에 따른 분석

관찰방법에 따른 유형은 크게 기술연구와 실험연구로 분류하였는데, 기술연구는 6가지 하위유형, 발달특성, 비교, 예측요인, 상관, 문헌리뷰, 평가도구/방법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기술연구 중 발달특성, 비교, 예측요인, 상관, 평가도구/방법 유형은 각 관찰방법이 연구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에 해당하는 경우로 국한하였다. 하나의 연구에 두 가지 이상의 연구유형이 포함된 경우, 특히 둘 이상의 연구문제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경우에는 각각의 유형을 모두 분석에 포함하였다. 각 유형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 기준은 Table 2와 같다.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the observational method and criteria for classification

독립변인 분석

독립변인 유형은 크게 중재, 실험처치, 대상자 특성, 평가도구/방법, 기타로 분류하였는데, 대상자 특성은 장애/사례력, 의사소통관련, 연령/성별, 가족관련, 인공와우, 총 다섯 자기 세부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한 연구 논문에서 두 개 이상의 독립변인을 사용한 경우, 해당 독립변인들을 모두 분석에 포함하였다. 각 독립변인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분류 기준은 Table 3에 제시하였다.

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criteria for classification

종속변인 분석

종속변인 유형은 크게 수용언어, 표현언어, 기타로 분류하였는데, 수용언어와 표현언어는 각각 전반, 음운, 문법, 의미, 화용, 기타로 구분하였으며, 기타 유형에는 언어전반, 상징놀이, 가족관련, 장애출현율, 평가도구/방법, 기타 유형이 포함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을 세부적인 언어 영역을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고 특정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수용 및 표현 영역 평가 결과를 종속변인으로 사용한 연구 논문들을 수용의 기타 및 표현의 기타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 결과 수용 및 표현의 기타 비율이 낮지 않았던 점과 언어의 특정 하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없는 변인들과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용 전반 및 표현 전반 유형을 포함하였다. 또한 종속변인으로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수용 및 표현언어 영역의 결과를 합산하여 하나의 변인으로 사용한 경우 기타의 하위유형인 언어전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방법

최근 10년간 두 학술지에서 발표된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 논문을 연구대상, 시간관점, 관찰방법, 독립변인, 종속변인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각 유형의 연도별 출판 빈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와 국외의 연구 동향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총 10년 동안의 빈도를 합산하여 각 유형의 비율을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분석 결과

두 학술지 연구 논문에 포함된 연구대상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에 연도별로 제시하였으며, 학술지별 전체 연구대상 유형 비율은 Figure 2에 제시하였다. 최근 10년간의 전체 비율을 살펴보면, JSLHR과 CSD 모두 일반발달 유형이 각각 45.6%, 48.4%로 가장 많았는데, 일반발달 유형에 이어서 JSLHR의 경우 말늦은 아동(15.6%), 청각장애(10.9%), 자폐스펙트럼장애(7.5%), 언어발달지체와 가족력(각 4.8%), 미숙아와 기타(각 3.4%), 이중언어/다문화(2.7%), 구개열(1.4%) 순으로, CSD의 경우 말늦은 아동(29%), 구개열(11.3%), 미숙아(4.8%), 청각장애(3.2%),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이중언어/다문화(각 1.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CSD에서 언어발달지체와 가족력, 기타 유형을 대상자로 한 연구는 발표되지 않았으며, JSLHR의 기타 유형에는 취약x증후군과 중이염을 지닌 아동들이 포함되었다.

Types of subjects

Figure 2.

Types of subjects.

TD = Typical Developing; LT = Late-talking; HI = Hearing Impairment; ASD = Autism spectrum disorders; DLD =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CP= Cleft palate; BIL = Bilingual/Multilingual; PTB = Preterm birth.

시간관점에 따른 분석 결과

시간관점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에 연도별로 제시하였으며, 학술지별 시간관점에 따른 연구유형의 전체 비율을 Figure 3에 제시하였다. 최근 10년간 JSLHR에는 종단연구(51.2%)가 횡단연구(47.3%)보다 더 많이 출판되었으나, CSD에는 횡단연구(67.2%)가 종단연구(32.8%)보다 더 많이 출판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JSLHR에는 기타, 즉 시간관점에 따라 분류할 수 없는 문헌연구가 두 편 출판되었으나, CSD의 경우 한 편도 출판되지 않았다.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a time dimension

Figure 3.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a time dimension.

관찰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관찰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는 Table 6에 연도별로 제시하였다. 학술지별 관찰방법에 따른 연구유형의 전체 비율을 Figures 4, 5에 제시하였다. 먼저 관찰방법을 크게 기술연구와 실험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JSLHR과 CSD 모두 기술연구가 각각 80.8%, 96.2%로 실험연구보다 더 많이 출판되었으나, 두 학술지에 발표된 실험연구는 JSLHR이 19.2%, CSD가 3.8%로, 적지 않은 비율 차이를 보였다. 하위유형을 살펴보면, JSLHR은 예측요인(26.2%)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비교(23.8%), 평가도구/방법(13.4%), 상관(10.5%), 중재효과(9.9%), 실험처치(9.3%), 발달특성(5.8%), 문헌리뷰(1.2%) 순이었으며, CSD는 비교(37.2%)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발달특성(23.1%), 예측요인(15.4%), 상관(11.5%), 평가도구/방법(9%), 중재효과(3.8%) 순이었다. 두 학술지 간 비율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유형은 발달특성 유형과 실험처치 유형이었는데, 발달특성 연구의 경우 JSLHR은 그 비율이 낮은 반면에 CSD는 비교적 비율이 높았고, 실험처치 연구의 경우 JSLHR에서는 16편(9.3%)의 연구가 발표되었으나 CSD에서는 한 편도 발표되지 않았다.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the observational method

Figure 4.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the observational method.

Figure 5.

Sub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the observational method.

독립변인 분석 결과

독립변인 분석 결과는 Table 7에 연도별로 제시하였다. 학술지별 연구 논문에 포함된 독립변인 유형들의 전체 비율을 Figure 6에 제시하였다. 총 10년간의 전체 비율을 살펴보면, JSLHR의 독립변인 유형은 인공와우를 제외하고 각 8.1-15.2%로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으나, CSD의 독립변인 유형은 대상자의 특성인 장애/사례력과 연령/성별을 합한 비율이 62.5%로, 과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두 학술지별 각 독립변인 유형의 비율 순위를 살펴보면, JSLHR은 의사소통관련(16.8%), 장애/사례력(15.2%), 연령/성별과 기타(각 12.7%), 평가도구/방법(11.7%), 가족관련(11.2%), 중재(8.6%), 실험처치(8.1%), 인공와우(3%) 순이었고, CSD는 장애/사례력(33.3%), 연령/성별(29.2%), 의사소통관련(12.5%), 평가도구/방법(9.7%), 기타(8.3%), 중재(4.2%), 가족관련(2.8%) 순이었다. CSD에서 실험처치와 인공와우 유형을 독립변인으로 사용한 연구는 없었다. JSLHR의 기타 독립변인으로는 대상자의 인지, 운동, 주의력, 청력 수준, 언어 및 문화권 등이 있었으며, CSD의 기타 독립변인으로는 대상자의 인지, 운동, 기질 등이 있었다.

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Figure 6.

Sub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종속변인 분석 결과

종속변인 분석 결과는 Table 8에 연도별로 제시하였다. 학술지별 연구 논문에 포함된 종속변인 유형들의 전체 비율은 Figures 7, 8에 제시하였다. 먼저 종속변인 유형을 표현언어, 수용언어, 기타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JSLHR과 CSD 모두 표현언어 관련 변인이 전체 비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SD의 사용 비율이 61.4%로, JSLHR (55.5%)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수용언어 관련 변인의 경우 두 학술지 모두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JSLHR의 사용 비율(18%)이 CSD(12.6%)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기타 종속변인의 사용 비율은 두 학술지 모두 26-26.6%로 거의 유사했다. 종속변인의 세부유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JSLHR 과 CSD 모두 표현 의미 관련 변인이 각각 20.3%, 1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JSLHR에서는 표현 전반(10.9%), 기타 평가 도구/방법과 기타의 기타(각 9%), 수용 전반(8.6%), 표현 화용(7.8%) 순으로, CSD에서는 표현 음운(14.2%), 표현 화용(11%), 기타의 기타(8.7%), 표현 문법(7.9%), 표현 전반(7.1%) 순으로 변인이 많이 사용되었다. 수용 화용을 제외한 수용언어 관련 변인들은 JSLHR에서의 사용 비율이 CSD보다 높았고, 표현 의미를 제외한 표현언어 관련 변인들은 CSD에서의 사용 비율이 JSLHR보다 높았다. 기타 종속변인 중 하위 기타 유형은 두 학술지 모두에서 10%에 근접한 비율로 사용되었는데, JSLHR에서는 대상자의 인지, 운동, 사회성, 적응, 감각, 문해력 등이, CSD에서는 인지, 운동, 학업 수행력, 기질 등이 하위 기타 유형에 포함되었다.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Figure 7.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Figure 8.

Subtypes of dependent variables.

PNL = Phonological; GRM = Grammatical; SMT = Semantic; PRM = Pragmatic; WL = Whole language; SP = Symbolic play; F = Family-related; PRV = Prevalence; ATM = Assessment tool/method.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내의 학술지인 CSD와 국외의 학술지인 JSLHR에 최근 10년간 발표된 영유아기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최근의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고, 2008년 이전 10년간의 동향을 분석한 Kim과 Hong(2008)과 비교하여 흐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최근 10년간 CSD와 JSLHR의 연구 동향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CSD와 JSLHR에서 영유아기 언어발달과 관련되어 발표된 총 연구 논문 수는 각각 56편, 129편으로, 국외가 국내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두 학술지의 연구 수 차이는 2019년에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국외는 22편이 발표된 반면 국내는 5편에 지나지 않았다.

연구대상의 측면에서 국내외 모두 일반 아동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더불어 국내는 말늦은 아동과 구개열 아동에 관심이 많았고, 국외는 말늦은 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에 관심이 많았다. 두 학술지에서 일반 아동이 가장 많았던 이유는 3세 이하의 영유아들은 구조적으로 선천적인 결함 문제를 제외하고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며, 영유아 언어장애 아동의 조기 선별 및 중재를 위해서 일반 아동의 발달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말늦은 아동은 두 번째로 많은 대상이었는데, 국내의 경우 말늦은 아동 연구는 주로 통제군과의 비교를 통해 전반적인 언어발달 특성을 살펴보았고, 중재효과나 예측요인을 살펴본 연구는 소수에 불과했다. 반면 국외의 경우 말늦은 아동 연구는 비교뿐 아니라 중재효과와 예측요인을 살피는 연구가 함께 주를 이루어 연구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간관점의 측면에서 국내는 약 70%가 횡단적으로 연구되었으나, 국외는 종단연구의 비율이 51%로 횡단보다 약간 높아 횡단연구와 종단연구가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관찰 방법에 따른 연구유형 중 예측요인과 중재효과를 살펴본 연구의 비율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예측요인과 중재효과 연구는 후일의 언어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주로 종단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연구유형 분석 결과 국내는 국외에 비해 예측요인과 중재효과의 비율이 낮은 편이었으며, 두 학술지 간 유형의 비율이 모두 10% 이상 차이 났다. 따라서 국내외의 연구유형 비율 차이가 시간관점의 차이를 야기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관찰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국내외 모두 기술연구가 실험연구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는 국외에 비해 기술연구 비율이 높았고 실험연구 비율이 낮았다. 국내는 중재 효과 연구가 3편, 실험처치 연구는 하나도 발표되지 않은 반면에, 국외는 중재효과와 실험처치가 각 17편, 16편이 발표되어 두 학술지 간 실험연구는 대략 5배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유형을 자세히 살펴보면 국내는 비교 연구가 다른 유형에 비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국외는 비교와 예측요인 연구가 비슷한 비율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예측요인이 조금 더 많았다. 또한 국내는 발달 특성 연구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는데, 국외는 매우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Figure 5와 같이 국내는 국외보다 연구되는 유형이 한정적이지만 골고루 분산되었고, 국외는 비록 낮은 비율일지라도 국내보다 더 다양한 연구유형이 발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 분석 결과 국내는 연령/성별과 장애/사례력 변인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국외는 어느 한 변인에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살펴보는 경향을 보였다. 특이하게도 국내는 가족관련을 독립 변인으로 한 연구가 2.7%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그에 비해 국외는 11.2%로 독립변인들 중 다소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연구가 영유아의 직접적인 이해 및 표현언어에는 관심이 많으나, 영유아의 가족과 관련된 연구에는 관심이 부족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내는 인공와우 변인이 하나도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국외보다 청각장애 대상 연구가 현저히 적었기 때문이었다.

종속변인 분석 결과 국내외 모두 수용언어보다 표현언어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수용언어, 표현언어, 기타 영역의 비율은 두 학술지 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용언어에서는 국내외 모두 전반과 의미 영역을 종속변인으로 한 연구들이 주가 되었고, 표현언어에서 국내는 의미, 음운, 화용 등 여러 영역을 골고루 살펴본 반면에 국외는 의미 영역에 치중된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국내외 모두 기타 영역의 비율이 수용언어보다 높았는데, 대상자의 인지나 운동능력과 같은 타 영역의 특성을 종속변인으로 한 연구들이 국외에서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언어의 영역은 국내외 모두 표현언어와 다른 발달 영역의 연구들에 비해 종속변인의 영역이 제한적이고 연구 비율도 상당히 낮았다.

둘째, 연구 결과를 Kim과 Hong (2008)과 비교함으로써 국내외의 전반적인 흐름이 과거로부터 어떻게 변화했는지, 또한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제언점들이 얼마나 충족되었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10년간 두 학술지에 발표된 영유아기 언어발달 관련 연구 논문의 수는 Kim과 Hong (2008)의 결과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여 영유아기에 대한 관심이 과거에 비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측면에서 선행 연구는 국내의 70%, 국외의 44%가 일반 아동 비율로 연구대상의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고 보고했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도 일반 아동 비율이 가장 높다는 점은 일치하나, 국내의 비율이 48%로 대폭 줄어들었으며 국외는 45%로 이전과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선행연구에서는 국내의 연구대상이 일반 아동과 언어발달지체에 편향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아동이 줄고 말늦은 아동이나 구개열 등의 다양한 대상 연구가 늘면서 이전보다 분산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이하게도 본 연구에서 언어발달지체를 살펴본 국내 연구는 한편도 없었는데, 그 이유는 과거에 4%에 불과했던 말늦은 아동 연구가 최근에 29%를 차지하면서 국내의 영유아기에 대한 관심이 말늦은 아동에 집중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선행연구에서 국외는 일반 아동을 비롯하여 다양한 대상들이 골고루 연구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도 연구대상의 비율이 과거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국외의 연구대상이 국내보다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었다. 과거부터 최근까지 국내와 국외의 동향 변화를 비교해보면, 국내가 국외의 흐름을 느리게 따라가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연구대상 측면에서 국외는 과거부터 말늦은 아동에 대한 관심이 컸던 반면에 국내는 최근에 들어서야 관심이 커졌다는 것을 근거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관찰방법에 따른 연구유형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국내는 발달특성 연구에 치중해 있었으나, 국외는 발달특성, 비교, 예측요인 연구가 각각 20% 이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최근의 국내 연구 유형은 발달특성을 비롯해 비교와 예측요인 연구로도 골고루 분산된 모습을 보였는데, 특히 발달특성의 비중이 낮아지고 비교와 예측요인 연구가 증가하면서 이 세 유형이 국내 동향의 주요한 흐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연구유형은 주로 발달특성, 비교, 예측요인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발달특성의 비중은 낮아지면서 비교, 예측요인, 평가도구/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요약하면 국내 동향은 과거의 국외 동향을 최근에 따라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영어권의 동향을 느리게 따라간다는 해석을 뒷받침할 수 있다.

시간관점의 측면에서, 국내는 선행연구보다 더 많은 연구들이 횡단적으로 연구되었으나, 반대로 국외는 선행연구보다 종단연구의 비중이 커졌다. 관찰방법 측면에서,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높은 기술연구의 비중은 국내외 모두 해당하였고,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비슷하였다. 과거부터 실험연구에 대한 관심은 국외가 많았으며, 국외는 12%에서 19%로, 국내는 5%에서 3%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최근 10년 동안 국내외 연구 수가 선행연구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두 학술지 모두 실험연구의 동향에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는 국내의 실험연구에 대한 제한적인 관심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도 국내가 국외보다 더 낮은 비율을 차지하여 우리나라는 중재 및 실험 처치와 관련한 연구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의 측면에서, 선행연구는 국내가 연령/성별을 중요하게 보았고 최근에는 더불어 장애/사례력에도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는 국외가 장애/사례력, 의사소통관련, 연령/성별로 분산되었다고 보고하였는데, 최근에는 가족관련의 비중도 커져 여러 변인들을 고르게 살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과거보다는 더 다양한 독립변인을 보았으나 여전히 일부 독립변인에 한정되는 제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기타 독립변인으로 분류된 변인들은 기질, 운동, 인지 영역이나 문화 및 상황별 맥락 등이었는데, 국내외 모두 선행연구에 비해 기타 독립변인의 비율이 높아진 것은 최근 10년의 국내외 연구가 대상자의 언어, 의사소통적인 측면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더 넓은 영역의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타 영역과의 관계도 살펴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종속변인의 측면에서, 선행연구는 국내외 종속변인이 모두 의미에 집중되었으며, 특히 수용언어에 비해 표현언어의 의미가 더 많았고, 전반적으로 국내에 비해 국외의 종속변인이 더 다양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과거와 최근을 통틀어 국내외적으로 영유아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수용언어보다 표현언어 영역에 더 관심을 보이는 것은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종속변인의 영역 간 불균형이 최근까지도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영유아기를 대상으로 한 언어발달 관련 연구의 동향을 국내외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국내에서 진행되어 온 연구의 흐름 내의 부족한 영역을 알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영유아기 언어발달 관련 연구 수가 과거 10년에 비해 최근 10년간 2배 이상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외에 비하면 상당히 적은 수에 머물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영유아와 관련한 연구 수의 절대적인 증가가 필요하며, 더 많고 활발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는 과거에 비해 대상자 유형이 다양하게 늘어났지만, 국외에 비해서는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는 국내 연구에서 미숙아나 유전적 요인의 고위험군 아동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함을 지적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달리 미숙아와 이중언어 아동의 연구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으나 가족력의 대상자군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발달 지체나 가족력 등 특정 유형군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국내는 여전히 횡단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과거에는 국내외 모두 횡단연구의 비율이 종단연구에 비해 높았으나, 최근에는 국내의 횡단연구 비율이 더 증가하였고, 국외는 감소하면서 종단연구의 비율이 더 높아졌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영유아의 장기간 발달이나 결함을 추적하는 연구를 좀 더 활발히 하고, 예측요인이나 중재효과와 같은 연구들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 횡· 종단적으로 균형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내외 모두 실험연구의 비율이 저조하였는데, 특히 우리나라가 영유아의 조기중재에 대한 관심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유아와 그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다양한 조건의 실험처치와 같은 연구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우리나라는 영유아기 아동들만 대상으로 한 연구에 관심이 치우친 경향을 보였다. 국외는 영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의사소통이나 반응 형태와 같은 가족관련 변인이 독립변인인 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에, 국내의 가족관련 변인의 비율은 3%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살펴보기 위해 영유아기 아동뿐 아니라 그의 가족까지도 대상이 되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종속변인의 측면에서 수용언어 영역이 표현언어와 기타보다 매우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현재까지 영유아기 아동들의 언어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검사도구가 제한적이고, 발화 분석과 같은 비공식적인 평가를 통해서 영유아의 표현언어를 살펴 보는 방법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임상에 있는 언어재활사나 연구자들이 영유아기 아동들의 수용언어 측면을 살펴볼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도구 및 평가방법의 개발에 대해 보다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언어병리학을 대표하는 학술지인 CSD와 영어권 언어병리학을 대표하는 JSLHR만을 대상으로 최근 10년간 발표된 185편의 많은 연구들을 분석하였으나, 타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연구들을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학술지 범위를 확장하여 타 학술지의 연구도 분석 대상으로 포함시킨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Abu-Zhaya, R., Kondaurova, M. V., Houston, D., & Seidl, A. (2019). Vocal and tactile input to children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7)2372–2385.
2. Alcock, K., & Connor, S. (2021). Oral motor and gesture abilitie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reschool language skill: longitudinal and concurrent relationships at 21 months and 3-4 yea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6)1944–1963.
3. Alper, R. M., Beiting, M., Luo, R., Jaen, J., Peel, M., Levi, O., ... Hirsh-Pasek, K. (2021). Change the things you can: Modifiable parent characteristics predict high-quality early language interaction within socioeconomic statu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6)1992–2004.
4. Alt, M., Figueroa, C. R., Mettler, H. M., Evans-Reitz, N., & Erikson, J. A. (2021). A vocabulary acquisition and usage for late talkers treatment efficacy study: the effect of input utterance length and identification of responder profil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4)1235–1255.
5. Alt, M., Mettler, H. M., Erikson, J. A., Figueroa, C. R., Etters-Thomas, S. E., Arizmendi, G. D., & Oglivie, T. (2020). Exploring input parameters in an expressive vocabulary treatment with late talk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1)216–233.
6. Armstrong, R., Symons, M., Scott, J. G., Arnott, W. L., Copland, D. A., McMahon, K. L., & Whitehouse, A. J. (2018). Predicting language difficulties in middle childhood from early developmental milestones: a comparison of traditional regression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8)1926–1944.
7. Aro, T., Eklund, K., Nurmi, J. E., & Poikkeus, A. M. (2012). Early language and behavioral regulation skills as predictors of social outcom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2)395–408.
8. Avivi-Reich, M., Roberts, M. Y., & Grieco-Calub, T. M. (2020). Quantifying the effects of background speech babble on preschool children’s novel word learning in a multisession paradigm: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1)345–356.
9. Bavin, E. L., Sarant, J., Prendergast, L., Busby, P., Leigh, G., & Peterson, C. (2021).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mpact on the early vocabulary of infants/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4)1210–1221.
10. Bernier, D. E., & White, K. S. (2019). Toddlers process common and infrequent childhood mispronunciations differently for child and adult speak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11)4137–4149.
11. Białecka-Pikul, M., Filip, A., Stępień-Nycz, M., Kuś, K., & O’Neill, D. K. (2019). Ratunku! or just tunku! Evidence for the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language use inventory-Polis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7)2317–2331.
12. Breen, E., Pomper, R., & Saffran, J. (2019). Phonological learning influences label-object mapping in toddl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6)1923–1932.
13. Brown, M. I., Trembath, D., Westerveld, M. F., & Gillon, G. T. (2019). A pilot study of early storybook reading with babies with hearing los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9)3397–3412.
14. Capone Singleton, N., & Anderson, L. (2020). Making object shape explicit for toddlers with late language emergenc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3)749–763.
15. Chai, J. H., Lo, C. H., & Mayor, J. (2020). A Bayesian-inspired item response theory-based framework to produce very short versions of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10)3488–3500.
16. Chenausky, K., Nelson III, C., & Tager-Flusberg, H. (2017). Vocalization rate and consonant production in toddlers at high and low risk for autism.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4)865–876.
17. Choi, I. R., & Hwang, M. (2014). Korean late-talkers’ use of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on first versus second label learning.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 (3)285–293.
18. Choi, J. J., & Lee, Y. (2018). Communicative gestures in prelinguistic periods as predictors of later language development in Korean toddl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1)11–19.
19. Choi, J., Oh, S. J., & Lee, Y. (2021). Development of using endings (“Eomi”) in spontaneous language samples from 2- to 3-year-old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3)545–557.
20. Chung, B., & Kim, M. (2020).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adults’ language input on function word learning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2)202–213.
21. Chung, M. R., Lee, S. H., & Kim, J. H.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its relevance for infants’ mental ability: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fine motor develop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4)629–642.
22. Core, C., Hoff, E., Rumiche, R., & Señor, M. (2013). Total and conceptual vocabulary in Spanish-English bilinguals from 22 to 30 months: Implications for assess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 (5)1637–1649.
23. Crandall, M. C., McDaniel, J., Watson, L. R., & Yoder, P. J. (2019). The relation between early parent verb input and later expressive verb vocabular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6)1787–1797.
24. Culloty, A. M., O’Toole, C., & Gibbon, F. E. (2019). Longitudinal study of expressive language and speech of twins at 3 and 5 years: outgrowing a twinning effec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7)2425–2437.
25. Cychosz, M., Villanueva, A., & Weisleder, A. (2021). Efficient estimation of children’s language exposure in two bilingual communiti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10)3843–3866.
26. Dale, P. S., von Stumm, S., Selzam, S., & Hayiou-Thomas, M. E. (2020). Does the inclusion of a genome-wide polygenic score improve early risk prediction for later language and literacy dela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5)1467–1478.
27. Daub, O., Bagatto, M. P., Johnson, A. M., & Cardy, J. O. (2017). Language outcomes in children who are deaf and hard of hearing: the role of language ability before hearing aid interven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11)3310–3320.
28. Daub, O., Cardy, J. O., Johnson, A. M., & Bagatto, M. P. (2019). Validity evidence for the LittlEARS early speech production questionnaire: an English-speaking, Canadian sampl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10)3667–3678.
29. DeAnda, S., Bosch, L., Poulin-Dubois, D., Zesiger, P., & Friend, M. (2016). The language exposure assessment tool: quantifying language exposure in infants and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9, (6)1346–1356.
30. Deevy, P., Leonard, L. B., & Marchman, V. A. (2017). Sensitivity to morphosyntactic information in 3-year-old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a feasibility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3)668–674.
31. DeVeney, S. L., Hoffman, L., & Cress, C. J. (2012). Communication-based assessment of developmental age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3)695–709.
32. Droucker, D., Curtin, S., & Vouloumanos, A. (2013). Linking infant-directed speech and face preferences to language outcomes in infants at risk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 (2)567–576.
33. Ellawadi, A. B., & Weismer, S. E. (2014). Assessing gestures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2)524–531.
34. Eshghi, M., Adatorwovor, R., Preisser, J. S., Crais, E. R., & Zajac, D. J. (2019). Vocabulary growth from 18 to 24 months of ag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repaired cleft palat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9)3413–3430.
35. Fagan, M. K., & Doveikis, K. N. (2017). Ordinary interactions challenge proposals that maternal verbal responses shape infant vocal develop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10)2819–2827.
36. Fagan, M. K., & Doveikis, K. N. (2019). What mothers do after infants vocalize: implications for vocal development or word learn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8)2680–2690.
37. Feldman, J. I., Raj, S., Bowman, S. M., Santapuram, P., Golden, A. J., Daly, C., ... Woynaroski, T. G. (2021). Sensory responsiveness is linked with communication in infant sibling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6)1964–1976.
38. Fey, M. E., Yoder, P. J., Warren, S. F., & Bredin-Oja, S. L. (2013). Is more better? Milieu communication teaching in toddl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 (2)679–693.
39. Fisher, E. L. (2017).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dictors of expressive-language outcomes among late talk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10)2935–2948.
40. Gagnon, E. B., Eskridge, H., Brown, K. D., & Park, L. R. (2021). The impact of cumulative cochlear implant wear time on spoken language outcomes at age 3 yea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4)1369–1375.
41. Ganek, H., Smyth, R., Nixon, S., & Eriks-Brophy, A. (2018). Using the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 system to investigate cultural differences in conversational turn cou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9)2246–2258.
42. Gilkerson, J., Zhang, Y., Xu, D., Richards, J. A., Xu, X., Jiang, F., ... Topping, K. (2015). Evaluating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system performance for Chinese: a pilot study in Shanghai.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8, (2)445–452.
43. Gogate, L., & Maganti, M. (2017). The origins of verb learning: preverbal and postverbal infants’ learning of word-action rela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12)3538–3550.
44. Gogate, L., Maganti, M., & Perenyi, A. (2014). Preterm and term infants’ perception of temporally coordinated Syllable-object pairings: Implications for lexical develop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1)187–198.
45. Gresch, L. D., Marchman, V. A., Loi, E. C., Fernald, A., & Feldman, H. M. (2018). Nonword repetition and language outcomes in young children born preterm.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5)1203–1215.
46. Guo, L. Y., McGregor, K. K., & Spencer, L. J. (2015). Are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sensitive to the statistics of words in the ambient spoken languag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8, (3)987–1000.
47. Ha, S. (2017). Longitudinal study of vocal development in 9- to 18-monthold children acquiring Korea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3)435–444.
48. Ha, S. (2019). Onset of canonical babbling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cleft palat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3)715–723.
49. Ha, S., & Oller, D. K. (2019). Canonical babbling in Korean-acquiring infants at 4-9 month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1)1–8.
50. Ha, S., & Pi, M. (2018).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lexicon in Korean-acquiring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4)829–844.
51. Ha, S., Seol, A., So, J., & Pae, S. (2016).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patterns of Korean two-year-old children from analysis of spontaneous utterance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1)47–59.
52. Hadley, P. A. (2020). Exploring sentence diversity at the boundary of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abiliti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10)3236–3251.
53. Hadley, P. A., Rispoli, M., & Holt, J. K. (2017). Input subject diversity accelerates the growth of tense and agreement: indirect benefits from a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9)2619–2635.
54. Hadley, P. A., Rispoli, M., Holt, J. K., Fitzgerald, C., & Bahnsen, A. (2014). Growth of finiteness in the third year of life: replication and predictive valid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3)887–900.
55. Hahn, L. J., Brady, N. C., Fleming, K. K., & Warren, S. F. (2016). Joint engagement and early language in young children with fragile X syndrom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9, (5)1087–1098.
56. Harwood, V., Preston, J., Grela, B., Roy, D., Harold, O., Turcios, J., ... Landi, N. (2017). Electrophysiology of perception and processing of phonological information as indices of toddlers’ language performanc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4)999–1011.
57. Henrichs, J., Rescorla, L., Donkersloot, C., Schenk, J. J., Raat, H., Jaddoe, V. W. V., ... Tiemeier, H. (2013). Early vocabulary delay and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in early childhood: the generation R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 (2)553–566.
58. Hong, G. H., Kim, Y. T., & Kim, S. J. (2014).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screening version of REVT for the 3 years of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 (1)1–8.
59. Hong, G. H., Lee, S., & Kim, S. J. (2018). A longitudinal study of language development and school performance in late-talkers at three and seven year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4)870–878.
60. Horvath, S., & Arunachalam, S. (2021). Repetition versus variability in verb learning: sometimes less is mor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11)4249–878.
61. Hsiao, Y. Y., Qi, C. H., Hoy, R., Dale, P. S., Stump, G. S., Davison, M. D., & Xia, Y. (2021). Hierarchy and reliability of the preschool language scales-fifth edition: Mokken scale analysi.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10)3983–3994.
62. Hughes, K. R., Hogan, A. L., Roberts, J. E., & Klusek, J. (2019). Gesture frequency and function in infants with Fragile X Syndrome and infant sibling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7)2386–2399.
63. Jang, H., & Ha, S. (2019). Protophone development at 4-6 months and 7-9 month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3)707–714.
64. Jang, H., & Ha, S. (2020). Canonical babbling development in Korean-acquiring infant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1)104–112.
65. Jeon, J., Lee, H., & Lee, Y. (2013). Comparison of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oddlers who are at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4)349–359.
66. Jones, M. K., Kraus, N., Bonacina, S., Nicol, T., Otto-Meyer, S., & Roberts, M. Y. (2020). Auditory processing differences in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5)1608–1617.
67. Jones, S. D., & Brandt, S. (2019). Neighborhood density and word production in delayed and advanced learn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8)2847–2854.
68. Jung, J., Reed, J., Wagner, L., Stephens, J., Warner-Czyz, A. D., Uhler, K., & Houston, D. (2020). Early vocabulary profiles of young deaf children who use cochlear impla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4)1254–1269.
69. Jung, Y. H., & Yoon, M. S. (2016). Analysis of interac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by Tait video method.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2)397–407.
70. Kehoe, M. M., Patrucco-Nanchen, T., Friend, M., & Zesiger, P.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lexical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in French-speaking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6)1807–1821.
71. Kehoe, M., Poulin-Dubois, D., & Friend, M. (2021). Within-and cross-language relations between phonological memory, vocabulary, and grammar in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12)4918–4948.
72. Kim, G. R., & Lee, H. R. (2017). Effect of maternal linguistic input type on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y of 18- to 24-month-old toddl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1)1–13.
73. Kim, H., & Ha, S. (2021). Canonical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repaired cleft palat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3)672–685.
74. Kim, J., Kim, S. J., & Do, N. H. (2018).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socioeconomic background with vocabulary development: a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children at 3 and 7 year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327–336.
75. Kim, J. M., & Hong, G. H. (2008). Research trends regarding infancy and toddlerhood language impairment during the last 10 yea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 (4)565–593.
76. Kim, J. S., Lee, B. I., & Jo, H. G. (2017).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related to language and communic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review of Korean special education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16.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7, (4)49–78.
77. Kim, M., & Ha, S. (2013). Longitudinal study of early vocalization development in toddlers with and without cleft palate from 6 to 18 month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2)223–234.
78. Kim, S. J., Seung, H., & Hong, G. (2013). Preliminary examination of clinical use of the Korean modified-checklist of autism in toddl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2)172–182.
79. Kim, Y. H., & Jung, K. (2021). Comparis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ssessment of language development for infants: 18-35 month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2)284–294.
80. Kim, Y., & Yim, D. (2018). Differences of early semantic relatedness between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4)845–857.
81. Koehlinger, K. M., Van Horne, A. J. O., & Moeller, M. P. (2013). Grammatical outcomes of 3- and 6-year-old children who are hard of hear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 (5)1701–1714.
82. Kondaurova, M. V., Bergeson, T. R., Xu, H., & Kitamura, C. (2015). Affective properties of mothers’ speech to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cochlear impla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8, (3)590–600.
83. Kover, S. T., & Ellis Weismer, S. (2014). Lexical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vocabulary in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4)1428–1441.
84. Krok, W. C., & Leonard, L. B. (2018). Verb variability and morphosyntactic priming with typically developing 2-and 3-year-old.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12)2996–3009.
85. Lalonde, K., & Frush Holt, R. (2014). Cognitive and linguistic sources of variance in 2-year olds’ speech-sound discriminati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1)308–326.
86. Lee, D. Y., & Lee, Y. (2018). Effects of interactional context on intentional communicative acts of toddlers: focused on free play and book reading.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3)560–569.
87. Lee, H. (2012). Word learning of bilingual children: whole object constrai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7, (1)36–46.
88. Lee, H., & Lee, Y. (2016). Prelinguistic communicative factors discriminating between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at 2 years in preterm toddl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3)425–435.
89. Lee, J. Y., Kim, Y. T., Bang, H. J., & Lee, S. H. (2014). A preliminary study on standardizing the K-Bayley-III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 (3)320–330.
90. Lee, J., & Yim, D. (2017).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direct and overheard speech of primary caregiver of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2)205–217.
91. Lee, M., & Hwang, B. (2018). Effects of language interven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verbal expression in children with expressive language dela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496–505.
92. Lee, Y. K., & Seol, A. Y. (2012). Maternal communication style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uring toddler-mother interac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7, (2)263–273.
93. Lee, Y., Choi, J., & Lee, H. (2021).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edition of the CSBS DP caregiver questionnair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1)22–33.
94. Lee, Y., & Ha, S. (2021). Parental responses to infants’ prelinguistic vocalizatio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1)13–21.
95. Lee, Y., & Lee, H. (2015). Communicative gestures in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heir relations to language develop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2)255–265.
96. Lee, Y., & Lee, H. (2016). Development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in Korean toddlers 12 to 30 month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4)553–566.
97. Lee, Y., & Lee, H. (2016). Prevale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mong toddlers born as preterm.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1)60–68.
98. Lee, Y., & Lee, H. (2019). Early social communication profile of Korean late talkers via the CSBS DP.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2)263–273.
99. Lee, Y., & Lee, J. (2017).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of preterm toddlers and their relation to early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3)458–470.
100. Lee, Y., & Lee, S. J. (2021). The development of using the postpositional morpheme “Josa” in the spontaneous language of 2-3 year-old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2)295–307.
101. Lee, Y., Lee, H., & Choi, J. (2018). A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SBS DP behavior sample in Korean toddl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539–548.
102. Longobardi, E., Lonigro, A., Laghi, F., & O’Neill, D. K. (2021). The assessment of early pragmatic development: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anguage use inventory-Itali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8)3186–3194.
103. Lüke, C., Ritterfeld, U., Grimminger, A., Liszkowski, U., & Rohlfing, K. J. (2017). Development of pointing gestures in children with typical and delayed language acquisi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11)3185–3197.
104. Määttä, S., Laakso, M.-L., Tolvanen, A., Ahonen, T., & Aroa, T. (2012).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arly communication skil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4)1083–1096.
105. MacRoy-Higgins, M., & Dalton, K. P. (2015). The influence of phonotactic probability on nonword repetition and fast mapping in 3-year-olds with a history of expressive language dela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8, (6)1773–1779.
106. Makransky, G., Dale, P. S., Havmose, P., & Bleses, D. (2016). An item response theory-based,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version of the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qords & Sentences (CDI: W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9, (2)281–289.
107. Manning, B. L., Harpole, A., Harriott, E. M., Postolowicz, K., & Norton, E. S. (2020). Taking language samples home: feasi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hild language samples conducted remotely with video chat versus in-pers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12)3982–3990.
108. Marini, A., Ruffino, M., Sali, M. E., & Molteni, M. (2017). The role of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lexical development in Italian-speaking late talkers: a one-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12)3462–3473.
109. Mason-Apps, E., Stojanovik, V., Houston-Price, C., Seager, E., & Buckley, S. (2020). Do infants with Down syndrome show an early receptive language advantag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2)585–598.
110. McDaniel, J., Yoder, P., Estes, A., & Rogers, S. J. (2020). Predicting expressive language from early vocalizations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ich vocal measure is bes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5)1509–1520.
111. McDonald, M., Kwon, T., Kim, H., Lee, Y., & Ko, E. S. (2021). Evaluating the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system for Kore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3)792–808.
112. Mealings, K. T., & Demuth, K. (2014). The role of utterance length and position in 3-year-olds’ production of third person singula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2)484–494.
113. Moeller, M. P., Thomas, A. E., Oleson, J., & Ambrose, S. E. (2019). Validation of a parent report tool for monitoring early vocal stages in infa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7)2245–2257.
114. Moon, H., & Ha, S. (2012). Phonological development in toddlers with cleft palate and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aged 12-24 month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7, (1)118–129.
115. Munro, N., Baker, E., Masso, S., Carson, L., Lee, T., Wong, A. M. Y., & Stokes, S. F. (2021). Vocabulary acquisition and usage for late talkers treatment: Effect on expressive vocabulary and phonolog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7)2682–2697.
116. Murillo, E., Ortega, C., Otones, A., Rujas, I., & Casla, M. (2018). Changes in the synchrony of multimodal communication in early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9)2235–2245.
117. Newbury, J., Klee, T., Stokes, S. F., & Moran, C. (2015). Exploring expressive vocabulary variability in two-year-olds: the role of working memor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8, (6)1761–1772.
118. Newbury, J., Klee, T., Stokes, S. F., & Moran, C. (2016). Inter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memory, processing speed, and language development in the age range 2-4 yea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9, (5)1146–1158.
119. Newkirk-Turner, B. L., Oetting, J. B., & Stockman, I. J. (2014). BE, DO, and modal auxiliaries of 3-year-old African American English speak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4)1383–1393.
120. Ng, C. S. Y., Stokes, S. F., & Alt, M. (2020). Successful implicit vocabulary intervention for three Cantonese-speaking toddlers: A replicated single-case desig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12)4148–4161.
121. Noble, C., Cameron-Faulkner, T., Jessop, A., Coates, A., Sawyer, H., TaylorIms, R., & Rowland, C. F. (2020). The impact of interactive shared book reading on children’s language skill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6)1878–1897.
122. Nowell, S. W., Watson, L. R., Crais, E. R., Baranek, G. T., Faldowski, R. A., & Turner-Brown, L. (2020). Joint attention and sensory-regulatory features at 13 and 22 months as predictors of preschool language and social-communication outcom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9)3100–3116.
123. O’Fallon, M., Von Holzen, K., & Newman, R. S. (2020). Preschoolers’ wordlearning during storybook reading interactions: comparing repeated and elaborated Inpu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3)814–826.
124. Oh, D. Y., & Yim, D. (2013). Non-word repetition and sentence repetition performance in 2-3 years old late talkers and normal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3)277–287.
125. Oh, S., Park, H., & Lee, E. (2015). Characteristics of iconic gestur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in late-talk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2)266–276.
126. Olswang, L. B., Dowden, P., Feuerstein, J., Greenslade, K., Pinder, G. L., & Fleming, K. (2014). Triadic gaze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5)1740–1753.
127. O’Neill, H., & Chiat, S. (2015). What our hands say: exploring gesture use in subgroups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8, (4)1319–1325.
128. Orena, A. J., Byers-Heinlein, K., & Polka, L. (2019). Reliability of the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recording system in analyzing French-English bilingual speec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7)2491–2500.
129. Pae, S., Yoon, H., Seol, A., & Gilkerson, J. (2015).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velopmental snapsho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3)355–363.
130. Park, B., & Ha, S. (2016). Early vocalization and later phonological an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cleft palat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2)355–370.
131. Park, W., & Yim, D. (2015). The effectiveness of parental education via smartphone application on number of utterances and initiation ratio.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4)500–509.
132. Perry, L. K., & Kucker, S. C. (2019). The heterogeneity of word learning biases in late-talking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3)554–563.
133. Perry, L. K., Meltzer, A. L., & Kucker, S. C. (2021). Vocabulary development and the shape bias in children with hearing lo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9)3520–3532.
134. Pesco, D., & O’Neill, D. K. (2012). Predicting later language outcomes from the language use inventory. ournal of Speech, Language & Hearing Research, 55, (2)421–434.
135. Pi, M., & Ha, S. (2017).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vocabulary amo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late talking childre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2)328–340.
136. Pi, M., & Ha, S. (2018). Early and later phonological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404–413.
137. Pi, M., & Ha, S. (2018). Relationships between phonological, lexical, and grammatical skills in 18- to 30-month-old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1)1–10.
138. Plumb, A., & Wetherby, A. (2013). Vocalization development in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 (2)721–734.
139. Quinn, E. D., Kaiser, A. P., & Ledford, J. (2021). Hybrid telepractice delivery of enhanced milieu teaching: effects on caregiver implementation and child communica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8)3074–3099.
140. Ramsdell, H. L., Oller, D. K., Buder, E. H., Ethington, C. A., & Chorna, L. (2012). Identification of prelinguistic phonological categori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6)1626–1639.
141. Ramsdell-Hudock, H. L., Warlaumont, A. S., Foss, L. E., & Perry, C. (2019). Classification of infant vocalizations by untrained listen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9)3265–3275.
142. Rescorla, L., Constants, H., Białecka-Pikul, M., Stępień-Nycz, M., & Ochał, A. (2017). Polish vocabulary development in 2-year-olds: comparisons with English using the language development surve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4)1029–1035.
143. Rescorla, L., Frigerio, A., Sali, M. E., Spataro, P., & Longobardi, E. (2014). Typical and delayed lexical development in Itali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5)1792–1803.
144. Rescorla, L., Lee, Y., Oh, K., & Kim, Y. (2013). Lexical development in Korean: vocabulary size, lexical composition, and late talk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 (2)735–747.
145. Rescorla, L., Nyame, J., & Dias, P. (2016). Vocabulary development in European Portuguese: a replication study using the language development surve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9, (6)1484–1490.
146. Rice, M. L., Zubrick, S. R., Taylor, C. L., Gayan, J., & Bontempo, D. (2014). Late language emergence in 24-month-old twins: heritable and increased risk for late language emergence in twi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3)917–928.
147. Richards, J. A., Xu, D., Gilkerson, J., Yapanel, U., Gray, S., & Paul, T. (2017). Automated assessment of child vocalization development using LEN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7)2047–2063.
148. Rispoli, M. (2018). Changing the subject: the place of revisions in grammatical develop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2)360–372.
149. Rispoli, M. (2019). The sequential unfolding of first phase syntax: tutorial and applications to develop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3)693–705.
150. Rispoli, M., Hadley, P. A., & Holt, J. K. (2012). Sequence and system in the acquisition of tense and agree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4)1007–1021.
151. Roberts, M. Y. (2019). Parent-implemented communication treatment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hearing loss: A randomized pilot tria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1)143–152.
152. Roberts, M. Y., & Kaiser, A. P. (2012). Assessing the effects of a parent-implemented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using empirical benchmarks: a pilot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6)1655–1670.
153. Roberts, M. Y., Kaiser, A. P., Wolfe, C. E., Bryant, J. D., & Spidalieri, A. M. (2014). Effects of the teach-model-coach-review instructional approach on caregiver use of language support strategies and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skil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5)1851–1869.
154. Ross, G., Demaria, R., & Yap, V.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delays and language development in very low birthweight premature children at 18 months corrected ag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1)114–119.
155. Sanchez, K., Spittle, A. J., Boyce, J. O., Leembruggen, L., Mantelos, A., Mills, S., ... Morgan, A. T. (2020). Conversational language in 3-year-old children born very preterm and at term.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1)206–215.
156. Sansavini, A., Zuccarini, M., Gibertoni, D., Bello, A., Caselli, M. C., Corvaglia, L., & Guarini, A. (2021). Language profiles and their relation to cognitive and motor skills at 30 months of age: an online investigation of low-risk preterm and full-term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7)2715–2733.
157. Seidl, A., Cristia, A., Soderstrom, M., Ko, E. S., Abel, E. A., Kellerman, A., & Schwichtenberg, A. J. (2018). Infant-mother acoustic-prosodic alignment and developmental risk.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6)1369–1380.
158. Shapiro, N. T., Hippe, D. S., & Ramírez, N. F. (2021). How chatty are daddies? An exploratory study of infants’ language environ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8)3242–3252.
159. Sim, H., & Ha, S. (2014). Comparison of phonological development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late talking children aged 18-30 month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 (1)99–112.
160. Smolík, F. (2019). Imageability and neighborhood density facilitate the age of word acquisition in Czec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5)1403–1415.
161. Sosa, A. V., & Stoel-Gammon, C. (2012). Lexical and phonological effects in early word produc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2)596–608.
162. Stokes, S. F., Bleses, D., Basbøll, H., & Lambertsen, C. (2012). Statistical learning in emerging lexicons: the case of Danis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5)1265–1273.
163. Stokes, S. F., de Bree, E., Kerkhoff, A., Momenian, M., & Zamuner, T. (2019). Phonology, semantics, and the comprehension-expression gap in emerging lexic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12)4509–4522.
164. Storkel, H. L., Bontempo, D. E., Aschenbrenner, A. J., Maekawa, J., & Lee, S.-Y. (2013). The effect of incremental changes in phonotactic probability and neighborhood density on word learning by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 (5)1689–1700.
165. Tager-Flusberg, H. (2016).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language in autism spectrum disorder: clues to underlying mechanism.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9, (1)143–154.
166. Theodore, R. M., Demuth, K., & Shattuck-Hufnagel, S. (2015). Examination of the locus of positional effects on children’s production of plural-s: considerations from local and global speech plann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8, (3)946–953.
167. Thomas, A. E., Ambrose, S. E., Marvin, C. A., Oleson, J., & Moeller, M. P. (2021). Evaluation of parent-researcher agreement on the vocal development landmarks interview.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7)2623–2636.
168. Uilenburg, N., Wiefferink, K., Verkerk, P., van Denderen, M., van Schie, C., & Oudesluys-Murphy, A. M. (2018). Accuracy of a screening tool for early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1)104–113.
169. Urm, A., & Tulviste, T. (2021). Toddlers’ early communicative skills as assessed by the short form version of the Estoni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II.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4)1303–1315.
170. Välimaa, T. T., Kunnari, S. M., Laukkanen-Nevala, P., & Ertmer, D. J. (2019). Vocal Development in infants and toddlers with bilateral cochlear implants and infants with normal hear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5)1296–1308.
171. van Alphen, P., Brouwer, S., Davids, N., Dijkstra, E., & Fikkert, P. (2021). Word recognition and word prediction in preschoolers with (a suspicion of) a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evidence from eye track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6)2005–2021.
172. van Heugten, M., & Johnson, E. K. (2012). Infants exposed to fluent natural speech succeed at cross-gender word recogni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2)554–560.
173. Wang, Y., Bergeson, T. R., & Houston, D. M. (2017). Infant-directed speech enhances attention to speech in deaf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11)3321–3333.
174. Wang, Y., Bergeson, T. R., & Houston, D. M. (2018). Preference for infant-directed speech in infants with hearing aids: effects of early auditory experienc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9)2431–2439.
175. Wang, Y., Jung, J., Bergeson, T. R., & Houston, D. M. (2020). Lexical repetition properties of caregiver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3)872–884.
176. West, K. L., Roemer, E. J., Northrup, J. B., & Iverson, J. M. (2020). Profiles of early actions and gestures in infants with an older sibling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3, (4)1195–1211.
177. Woynaroski, T., Yoder, P. J., Fey, M. E., & Warren, S. F. (2014). A transactional model of spoken vocabulary variation in toddl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5)1754–1763.
178. Wright, C. A., Kaiser, A. P., Reikowsky, D. I., & Roberts, M. Y. (2013). Effects of a naturalistic sign intervention on expressive language of toddlers with Down syndrom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 (3)994–1008.
179. Xu, D., Richards, J. A., & Gilkerson, J. (2014). Automated analysis of child phonetic production using naturalistic record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5)1638–1650.
180. Yang, Y., Park, S., Hong, Y. E., Lee, S., & Yim, D. (2019). The phonological similarity pattern of words contributing to expressive vocabulary in 18- to 36-month-old toddl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3)553–564.
181. Yang, Y., Yim, D., Oh, S., & Kang, M. (2021).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parenting behavior on vocabulary development in children: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4)773–784.
182. Yim, D., Yang, Y., Choi, J., Han, J., & Chae, M. (2021). Differences in early vocabulary development from 18-36-month-old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of matched ag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2)274–283.
183. Yoo, H., & Ha, S. (2021). Infant vocalizations and early home language environ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2)263–273.
184. Yoo, H., Oller, D. K., & Ha, S. (2021). Early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protophones in the first year of lif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1)1–12.
185. Yoon, M., Kim, S., Kim, J., Chang, M., & Cha, J. (2013). Reliable sample size for mean length of utterance analysis in preschooler.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4)368–378.
186. Yun, J. Y., Park, H. J., Lee, E. S., Yoo, H. S., & Kim, J. S. (2020). Early communicative skills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depending on chronological and hearing age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2)352–362.
187. Zajac, D. J., Vallino, L. D., Baylis, A. L., Adatorwovor, R., Preisser, J. S., & Vivaldi, D. (2021). Emergence of prevocalic stop consonants in children with repaired cleft palat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4, (1)30–39.
188. Zanobini, M., Viterbori, P., & Saraceno, F. (2012). Phonology and language development in Italian children: an analysis of production and accurac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5, (1)16–3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Number of publications.

Figure 2.

Types of subjects.

TD = Typical Developing; LT = Late-talking; HI = Hearing Impairment; ASD = Autism spectrum disorders; DLD =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CP= Cleft palate; BIL = Bilingual/Multilingual; PTB = Preterm birth.

Figure 3.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a time dimension.

Figure 4.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the observational method.

Figure 5.

Sub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the observational method.

Figure 6.

Sub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Figure 7.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Figure 8.

Subtypes of dependent variables.

PNL = Phonological; GRM = Grammatical; SMT = Semantic; PRM = Pragmatic; WL = Whole language; SP = Symbolic play; F = Family-related; PRV = Prevalence; ATM = Assessment tool/method.

Table 1.

Types of subjects and criteria for classification

Type Criteria
Typical development Typical developing toddlers
Late-talking Toddlers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without any other developmental deficit
Hearing impairment Toddlers with hearing impairment
Autism spectrum disorders Toddlers diagnosed with or suspect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Toddlers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own syndrome, or developmental delays with language delays
Cleft palate Toddlers with cleft palate
Bilingual/Multicultural Toddlers who are bilingual or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eterm birth Toddlers who were born before 37 weeks of pregnancy
Family history Toddlers with a family history of specific disorders
Others In case not falling within the above types

Table 2.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the observational method and criteria for classification

Type Subtype Criteria
Descriptive stud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Study observing and analyzing a developmental change according to age within a homogeneous group
Comparison Study compari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heterogeneous groups
Predictive factor Study on variables that predict later development or affect other factors
Correlation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Literature review Study providing a comprehensive summary of previous research
Assessment tool /method Study verifying the validity or reliability of assessment tools, measures, and methods for evaluating and analyzing
Experimental study Interventional experiment Study assigning subjects to a treatment and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Non-interventional experiment Study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a trial condition without intervention

Table 3.

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criteria for classification

Type Criteria
Intervention Specific treatment method of interventional experiment
Trial condition Trial condition used to control in a non-interventional experiment
Subject’s disorder/history Presence of disorders, type, severity, and history of the subject
Subject’s communication skill Variables related to the subject’s communication skills
Subject’s age/gender Subject’s age and gender
Subject’s family-related variable Family socioeconomic status, family history of communication problems or disorders, characteristics related to communication of family members,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
Subject’s CI-related variable Age of cochlear implant (CI) activation or fitting hearing aids and other variables related to CI
Assessment tool/method Variables used in the study verifying the validity or reliability of assessment tools, measures, and methods for evaluating and analyzing
Others Variables not falling within the above types

Table 4.

Types of subjects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Total (%)
JSLHR
Typical developing 8 3 6 3 3 8 6 13 8 9 67 (45.6)
Late-talking 1 1 3 2 0 5 1 1 5 4 23 (15.6)
Hearing impairment 0 1 0 2 0 2 2 4 2 3 16 (10.9)
Autism spectrum disorders 0 1 3 0 1 1 0 1 4 0 11 (7.5)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0 3 1 0 0 0 0 1 1 1 7 (4.8)
Cleft palate 0 0 0 0 0 0 0 1 0 1 2 (1.4)
Bilingual/Multicultural 0 1 0 0 1 0 0 0 0 2 4 (2.7)
Preterm birth 0 0 1 0 0 0 2 0 1 1 5 (3.4)
Family history 0 1 0 0 1 1 1 1 1 1 7 (4.8)
Others 1 0 1 0 1 0 0 2 0 0 5 (3.4)
Total 10 11 15 7 7 17 12 24 22 22 147 (100)
CSD
Typical developing 0 3 2 1 3 3 6 3 1 8 30 (48.4)
Late-talking 1 2 2 3 0 2 3 2 1 2 18 (29.0)
Hearing impairment 0 0 0 0 1 0 0 0 1 0 2 (3.2)
Autism spectrum disorders 0 1 0 0 0 0 0 0 0 0 1 (1.6)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0 0 0 0 0 0 0 0 0 0 0 (0)
Cleft palate 1 1 0 0 1 1 1 1 0 1 7 (11.3)
Bilingual/Multicultural 1 0 0 0 0 0 0 0 0 0 1 (1.6)
Preterm birth 0 0 0 0 2 1 0 0 0 0 3 (4.8)
Family history 0 0 0 0 0 0 0 0 0 0 0 (0)
Others 0 0 0 0 0 0 0 0 0 0 0 (0)
Total 3 7 4 4 7 7 10 6 3 11 62 (100)

Table 5.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a time dimension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Total (%)
JSLHR
Longitudinal study 7 7 5 1 2 7 5 8 14 10 66 (51.2)
Cross-sectional study 3 2 8 6 3 5 5 13 5 11 61 (47.3)
Others 0 0 0 0 1 1 0 0 0 0 2 (1.6)
Total 10 9 13 7 6 13 10 21 19 21 129 (100)
CSD
Longitudinal study 0 1 0 1 2 2 5 3 3 2 19 (32.8)
Cross-sectional study 3 4 4 3 4 4 5 3 1 8 39 (67.2)
Others 0 0 0 0 0 0 0 0 0 0 0 (0)
Total 3 5 4 4 6 6 10 6 4 10 58 (100)

Table 6.

Types of studies depending on the observational method

Type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Total
JSLHR
Descriptive stud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2 1 0 0 0 3 1 2 1 0 10 (5.8)
Comparison 2 5 3 4 1 4 4 7 6 5 41 (23.8)
Predictive factor 3 5 4 1 2 4 5 7 5 9 45 (26.2)
Correlation 3 1 2 3 1 2 0 1 2 3 18 (10.5)
Literature review 0 0 0 0 1 1 0 0 0 0 2 (1.2)
Assessment tool/method 1 0 2 1 2 3 1 5 2 6 23 (13.4)
Experimental study
Interventional experiment 1 2 3 0 0 1 0 3 4 3 17 (9.9)
Non-interventional experiment 2 1 3 1 0 2 2 2 2 1 16 (9.3)
Total 14 172 (100)
CSD
Descriptive stud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0 1 1 0 4 1 3 3 2 3 18 (23.1)
Comparison 3 3 2 2 4 4 3 2 1 5 29 (37.2)
Predictive factor 0 0 0 0 3 1 3 2 0 3 12 (15.4)
Correlation 0 0 0 1 1 2 1 0 0 4 9 (11.5)
Literature review 0 0 0 0 0 0 0 0 0 0 0 (0)
Assessment tool/method 0 2 2 1 0 0 1 0 0 1 7 (9.0)
Experimental study
Interventional experiment 0 0 0 1 0 0 1 0 1 0 3 (3.8)
Non-interventional experiment 0 0 0 0 0 0 0 0 0 0 0 (0)
Total 3 78 (100)

Table 7.

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Total (%)
JSLHR
Intervention 1 2 3 0 0 1 0 3 4 3 17 (8.6)
Trial condition 2 1 3 1 0 2 2 2 2 1 16 (8.1)
Subject’s disorder/history 0 4 0 3 0 3 3 6 6 5 30 (15.2)
Subject’s communication skill 4 4 4 0 2 4 3 4 4 4 33 (16.8)
Subject’s age/gender 3 3 3 1 1 4 2 3 1 4 25 (12.7)
Subject’s family-related variable 0 3 1 0 0 4 1 5 3 5 22 (11.2)
Subject’s CI-related variable 0 1 0 1 0 1 0 1 0 2 6 (3.0)
Assessment tool/method 1 0 2 1 2 3 1 5 2 6 23 (11.7)
Others 0 3 3 1 2 2 4 4 2 4 25 (12.7)
Total 11 21 19 8 7 24 16 33 24 34 197 (100)
CSD
Intervention 0 0 0 1 0 0 1 0 1 0 3 (4.2)
Trial condition 0 0 0 0 0 0 0 0 0 0 0 (0)
Subject’s disorder/history 3 3 2 2 4 3 2 2 1 2 24 (33.3)
Subject’s communication skill 0 0 0 0 2 1 3 0 0 3 9 (12.5)
Subject’s age/gender 0 1 1 0 4 2 4 4 2 3 21 (29.2)
Subject’s family-related variable 0 0 0 0 0 1 1 0 0 0 2 (2.8)
Subject’s CI-related variable 0 0 0 0 0 0 0 0 0 0 0 (0)
Assessment tool/method 0 2 2 1 0 0 1 0 0 1 7 (9.7)
Others 0 0 0 0 0 1 1 1 0 3 6 (8.3)
Total 3 6 5 4 10 8 13 7 4 12 72 (100)

Table 8.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Type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Total
JSLHR
RL
Whole 4 0 0 1 2 2 1 1 7 4 22 (8.6)
Phonological 0 0 1 0 0 0 0 2 0 0 3 (1.2)
Grammatical 0 0 0 0 0 0 0 0 1 1 2 (0.8)
Semantic 1 1 0 0 0 2 1 0 5 7 17 (6.6)
Pragmatic 0 0 0 1 0 0 0 0 0 0 1 (0.4)
Others 0 0 0 0 0 0 0 0 0 1 1 (0.4)
Total 5 1 1 2 2 4 2 3 13 13 46 (18.0)
EL
Whole 3 1 1 1 2 3 2 4 7 4 28 (10.9)
Phonological 3 2 2 2 0 3 0 1 1 3 17 (6.6)
Grammatical 3 1 4 1 0 1 2 1 2 4 19 (7.4)
Semantic 3 7 4 3 2 5 1 6 11 10 52 (20.3)
Pragmatic 2 3 2 1 0 1 2 3 2 4 20 (7.8)
Others 0 0 0 0 0 1 2 0 1 2 6 (2.3)
Total 14 14 13 8 4 14 9 15 24 27 142 (55.5)
Others
Whole language 3 0 1 0 0 0 2 0 0 1 7 (2.7)
Symbolic play 0 0 0 0 0 0 0 0 1 2 3 (1.2)
Family-related 0 0 2 1 0 1 0 4 0 2 10 (3.9)
Prevalence 0 1 1 0 0 0 0 0 0 0 2 (0.8)
Assessment tool/method 1 0 2 1 2 3 1 5 2 6 23 (9.0)
Others 3 2 0 2 1 2 4 2 3 4 23 (9.0)
Total 7 3 6 4 3 6 7 11 6 15 68 (26.6)
Total 26 18 20 14 9 24 18 29 43 55 256 (100)
CSD
RL
Whole 0 1 0 1 2 1 1 0 1 1 8 (6.3)
Phonological 0 0 0 0 0 0 0 0 0 0 0 (0)
Grammatical 0 0 0 0 0 0 0 0 0 0 0 (0)
Semantic 0 2 0 0 0 0 2 0 1 2 7 (5.5)
Pragmatic 0 0 0 1 0 0 0 0 0 0 1 (0.8)
Others 0 0 0 0 0 0 0 0 0 0 0 (0)
Total 0 3 0 2 2 1 3 0 2 3 16 (12.6)
EL
Whole 0 1 0 1 2 1 1 1 1 1 9 (7.1)
Phonological 1 2 1 0 3 2 3 4 1 1 18 (14.2)
Grammatical 0 1 0 0 1 0 2 0 2 4 10 (7.9)
Semantic 0 1 1 1 3 2 6 1 1 3 19 (15.0)
Pragmatic 1 1 0 3 3 2 2 1 1 0 14 (11.0)
Others 1 0 1 1 0 0 0 2 0 3 8 (6.3)
Total 3 6 3 6 12 7 14 9 6 12 78 (61.4)
Others
Whole language 0 0 0 0 2 3 0 1 0 1 7(5.5)
Symbolic play 0 0 0 0 0 0 0 0 0 0 0 (0)
Family-related 1 0 0 1 0 2 0 0 0 2 6 (4.7)
Prevalence 0 0 0 0 1 0 1 0 0 0 2 (1.6)
Assessment tool/method 0 2 2 1 0 0 1 0 0 1 7 (5.5)
Others 1 2 1 0 0 2 1 1 1 2 11 (8.7)
Total 2 4 3 2 3 7 3 2 1 6 33 (26.0)
Total 5 13 6 10 17 15 20 11 9 21 127 (100)

RL=Receptive language; EL=Expressive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