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및 쓰기(literacy)는 글을 통하여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는 주요한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는데(Graham, Harris, MacArthur, & Schwartz, 1991), 이러한 능력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지속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고차원적인 수단이며, 학습의 주요한 수단이 된다(Hooper, 2002). 대부분의 아동들은 학령전에 듣기와 말하기를 통해 주로 이루어졌던 언어 경험이 학령기에 읽기와 쓰기로 그 영역이 확대된다. 읽기, 쓰기와 같은 선행요소들을 습득하지 못한 아동들은 학령기에 읽기 및 쓰기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학교교과학습에 어려움을 보인다(Berninger et al., 1998). 이와 같이 읽기 및 쓰기 기술은 일상생활과 학업성취 영역에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McGee & Richgels, 2000).
읽기 및 쓰기 기술을 비롯하여 듣기, 말하기, 추리 혹은 산수 능력의 습득과 사용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이는 집단을 이르러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y)라 명명하고 있다(National Joint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 2004).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에 특수교육진흥법이 개정되면서 학습장애가 특수교육대상자로 새로이 포함되며 학습장애에 대한 정의가 법에 명시되었으며, 이후 학습장애의 출현율이 전체 학생의 0.14%이며(Jung, Kim, & Jung, 2001; Ministry of Edu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심각한 학습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아동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1%에서 많게는 7%가량이라는 연구결과(Kim, 1999)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언어재활분야에서도 학습장애 중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읽기 및 쓰기(문해)의 어려움을 동반한 학령기 학습장애아동들에 대해 언어학습장애(language learning disability)로 포함하고(Kamhi & Catts, 2014; Kim & Kang, 2005; Kim, Ahn, & Seo, 2007; Seo & Kim, 2016) 이에 대한 다양한 평가도구 및 중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들이 발표되어 왔다(Kim, 2006; Kim et al., 2009; Kim, Kim, Kum, & Kim, 2013).
한편, 미국의 말언어청각협회(Americal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ASHA)에서는 아동과 청소년의 읽기 및 쓰기와 관련하여 언어재활사의 역할과 책임을 발표하였다. 언어재활사는 언어 습득의 사회· 문화적 차이와 연령 범위를 고려하여 언어발달의 개별적인 차이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문해와 관련하여 아동이 글을 읽을 수 있도록 돕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 하였다(ASHA, 2001). 또한 언어학습장애아동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중요한 역할과 책임을 비롯한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도 강조하고 있다(Kersting, Carr, & Kersting, 2008).
그러나 국내에서는 언어재활사가 여러 장애군 중 언어학습장애의 읽기 및 쓰기 문제와 관련한 실제적인 정보를 얻을 기회가 적으며, 이러한 평가와 중재에 대한 언어재활사로서의 역할과 업무에 대한 정보도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도 언어재활사가 읽기 지도와 관련된 활동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이와 관련하여 자신의 전문적인 능력에 대해 다소 불신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보고된 만큼(Lee & Huh, 2016), 언어학습장애 중재에 대한 고민과 어려움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더욱이 학령기 아동의 언어장애 문제 판별의 경우 공식검사만으로는 판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특히 언어재활사들의 전문성이 중요해지는 만큼(Sehr, 2013), 재활사들의 단순한 경험만이 아닌 이론과 평가를 포함한 포괄적인 지식 또한 요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언어재활사는 언어학습장애아동 치료와 함께 부모상담을 통해 주변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주요한 인물이기 때문에 언어재활현장에서 언어재활사들이 언어학습장애를 치료하며 겪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 과정 및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의 치료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극복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ground theory)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Strauss와 Corbin (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은 실제적인 경험을 한 사람들이 제공하는 자료로부터 그 현장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중심현상, 인과적 조건, 맥락,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의 패러다임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을 살펴보면 중심현상(phenomena)은 중심적인 생각이나 현장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으며,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은 현상을 일어나게 하거나 발전하도록 하는 사건을 의미하고 있다. 맥락(context)은 현상이 놓여있는 일련의 속성들의 구체적인 나열이며,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은 특정한 맥락 내 취해지는 작용/상호작용(action/in-teraction strategy) 전략을 촉진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조건이다. 작용/상호작용은 현상을 다루고 조절하고 수행하고 반응하는 데 쓰이는 전략으로 과정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결과(consequence)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따른 결과를 의미한다(Lee, 2017).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현실에서 일어난 모습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복잡한 맥락을 체계적으로 구성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더욱이 지금까지 언어학습장애와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의 언어학습장애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Byun & Park, 2013; Kang, 2008; Lee, 2006)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었다. 또한 언어병리학 분야에서 보고된 연구는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다(Kim, 2006; Kim et al.,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근거이론(groud theory)을 적용하여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의 치료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상황과 어려움을 탐색하여 보고,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언어재활사가 시도하는 방안들을 과정과 관계 속에서 분석하여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는 질적 연구의 의도적 표본추출 전략 중 기준 표본추출 전략(Criterion Sampling Strategy)에 의해 선정되었다(Amos Hatch, 2002).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아동 치료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려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준에 의해 연구 참여자가 선정되었다. 선정 기준은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한 언어재활사 1급 및 2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읽기 및 쓰기 문제를 포함한 언어학습장애아동을 치료해 본 경험이 있으며, 풀타임의 치료 경력이 최소 24개월 이상인 언어재활사 등이다. 연구자는 여러 지인을 통해 세 가지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 참여자를 소개받았으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동의하고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려는 7명의 언어재활사가 참여 동의서에 서명한 후 연구에 참여하였다. Table 1은 연구 참여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질문지 구성
심층면접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언어학습장애의 치료 경험에 대해 보다 많은 진술을 할 수 있도록 심층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본 연구의 문제인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아동을 치료하면서 겪는 어려움이 있는가?’,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아동을 치료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따라 5가지 질문을 구상하였다. 사전 질문지는 언어병리학을 전공한 교수 1인과 질적 연구 경험이 풍부한 교수 1인의 검토를 받아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구성된 하위 질문은 ‘언어학습장애아동 치료 경험, 언어학습장애아동 치료의 어려움, 이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 언어학습장애 치료 정보의 획득방법, 언어학습장애와 관련하여 필요한 제도 및 정책’이었다. 완성된 심층 질문지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면접 일주일 전에 배포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심층 질문지는 반구조화 형식으로 대부분 개방형 질문이었으며, 필요 시 주제와 부합하는 부가적인 추가질문을 사용하였다. 면접 시에는 공식적인 순서를 두지 않았으며 면접 상황에 따라 자신의 경험에 대해 서술하도록 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자료수집 및 자료전사
본 연구의 심층면접은 201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약 2달간 이루어졌다. 면접의 진행은 면접 내용과 진행 방식의 일관성을 위해 동일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면접 시간과 장소는 참여자와 상의 후에 결정하였으며, 참여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참여할 수 있고, 비밀보장이 가능하도록 참여자의 개인 사무실이나 조용한 공간 등에서 실시되었다. 본격적인 심층면접이 시작되기 전에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에 대해 설명한 후 연구참여 동의서에 서명을 받고 일반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심층면접은 반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여 실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시간을 제한하지 않았다. 면접은 모두 1회씩 진행하였으며, 소요시간은 약 1시간에서 2시간 이내로 평균 1시간 30분이었다. 모든 심층면접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표현을 생생하고 빠짐없이 기록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다. 녹음된 대화 내용은 면접이 끝난 후 일주일 이내에 모두 전사 및 기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7명의 언어재활사의 면담내용은 A4 용지의 글자크기 10, 줄간격 160으로 총 105장 분량으로 전사되었다.
자료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 경험을 통하여 그들이 당면한 다양한 상황 및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시도하는 방책들을 과정과 관계 속에서 분석하여 언어학습장애 치료와 관련한 대안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언어재활사들의 언어학습장애 치료 과정과 관계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언어재활사들이 전문성 있는 치료를 위한 합리적인 방책을 모색하는 데 적절한 연구방법이 근거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와 관련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현장에 바탕을 둔 귀납적이고 경험적인 이론과 개념의 개발에 부진해 왔던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 경험을 탐색하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인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상황과 어려움, 극복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근거이론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여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로부터 결론을 도출하는 근거이론의 표준적 형식인 Strauss와 Corbin (1990)의 분석방식인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1단계 개방코딩에서 자료를 단어나 문장단위로 분석하고, 나눠진 자료를 의미단위로 모아 자료의 실체를 개념화한 후 정보의 범주를 만들어 내었다(Schreiber & Stern, 2003). 2단계 축코딩에서 지속적으로 비교적 비교법을 이용하여 범주들의 연결하여 서로의 관계를 밝혀 모형을 도출하였다. 3단계 선택코딩에서 핵심 범주를 확인하고, 축코딩에 있는 범주들을 연결함으로써 이야기를 서술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Creswell, 2013).
연구의 내적 타당도 검증
본 연구에서는 질적 분석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두 가지 검증 절차를 적용하였다. 첫 번째로 연구자는 감정적인 해석을 자료를 제공한 연구참여자들에게 보여주고 해석이 타당한지 물어보는 절차인 ‘연구 참여자 검토(member check)’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에게 이메일로 잠정적인 해석을 전달한 후 해석이 타당한지 검점하고 자료에서 의미하는 내용에 대한 협의를 도출하였다(Merriam, 1998). 두 번째로 잠정적인 결과를 언어치료학 전공 석사연구생 2인에게 보여주고 비평을 참고하는 ‘동료 검토(peer debriefing)’를 실시하였다(Lincoln & Guba, 1985).
연구결과
개방코딩 결과
본 연구는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방코딩 과정을 거친 결과, Appendix 1과 같이 67개의 개념과 28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개념, 하위범주, 범주내용을 Appendix 1에 제시하였다.
축코딩 결과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범주의 관계성을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여 서로 연결하고 재배치하여 축코딩의 결과가 산출되었다. 그 결과를 Figure 1에 제시하였다.
인과적 조건
본 연구에서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를 중재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언어학습장애와 관련된 전문성 획득의 어려움’, ‘관련 교육의 부족’, ‘조기 중재의 어려움’으로 파악되었다.
언어학습장애와 관련된 전문성 획득의 어려움
언어재활사들은 언어학습장애의 읽기 및 쓰기 평가 및 중재와 관련하여 자료와 정보의 부족, 언어재활사의 역할 모호로 인해 업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읽기 및 쓰기 관련 교육의 부족
언어재활사들은 언어학습장애의 읽기 및 쓰기 문제와 관련된 교육을 접하지 못하였을 때, 그리고 교육을 통해 이론적인 내용을 실제 치료로 연결하기에는 부족하고 체계가 없는 교육만을 접하였다고 생각을 할 때 이러한 평가와 중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교육 참석 기회의 부족으로 치료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심현상: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어려움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인과적 조건으로 인해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중심적인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언어학습장애의 문해 문제와 관련된 지식의 부족, 치료 준비의 어려움을 느끼며 치료에 대한 자신감 결여와 막막함을 느낀다고 하였다.
맥락적 조건
본 연구에서는 부족한 치료 환경과 장기적인 치료의 어려움이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에 대한 맥락적 조건으로 분석되었다. 부족한 치료 환경과 장기적인 치료의 어려움에 대한 맥락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은 ‘정도’로서 ‘약함’과 ‘강함’에 따른 차원으로 나타난다. 즉, 언어재활사에게 교육이나 감독, 즉 슈퍼바이징이 미흡하고, 검사도구의 부재 등 초기 목표 설정을 위한 환경적인 여건이 미흡할 때, 열악한 치료 환경 정도가 매우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와 치료 연계가 어렵고, 부모의 경제적 부담과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질수록 장기적인 치료의 어려움 정도가 강하다고 할 수 있었다.
부족한 치료 환경
소속된 기관에 문해 관련 검사도구가 없거나, 재활사가 비공식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사용해야 할 때 치료에 대한 어려움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주변에 언어학습장애 경력자가 없고, 주변 언어재활사들도 언어학습장애의 읽기 및 쓰기에 대한 치료를 어려워할 때 슈퍼바이징이 미흡해짐에 따라 어려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중재적 조건
본 연구에서는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이라는 중심현상과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중재하는 조건을 부모의 개인적 특성과 아동 개개인의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부모의 개인적 특성은 치료 참여도에 따라, 아동 개개인의 특성은 치료 참여도와 학교생활 차이에 따라 다양한 양상과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조건에 따라 어려움의 정도도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
부모의 특성과 아동 개개인의 특성이라는 여건의 차이 속에서 초기 중재의 어려움, 언어학습장애 전문성 획득의 어려움, 문해 교육의 부재에 대한 부담으로부터 기인하는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언어학습장애 전문적 지식 확보, 원활한 치료 활동 유도, 가정과 치료 연계 유도와 같은 전략들을 시도하고 있었다.
언어학습장애 전문적 지식 확보
첫 번째 전략은 언어학습장애에 대한 전문적 지식 확보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언어학습장애 전문성 획득의 어려움과 문해 교육의 부재 속에서 스스로의 전문적 지식을 확보하기 위해 자생적 학습을 시도하며, 동료 언어재활사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언어재활사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식을 모색함으로써 새로운 치료 방법을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시도한 전략들 즉, 언어학습장애에 대한 전문적 지식 확보, 원활한 치료 활동 유도, 가정과 치료 연계 유도라는 중심현상을 극복하는 데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언어학습장애 전문적 지식 확보는 외부지원체계의 도움 없이 개인의 수준의 노력만으로 한계를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따라서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의 극복을 위한 최종적 대안으로써 언어재활사를 위한 문해 교육 확대, 언어학습장애 조기중재 지원 등을 절실하게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강화
언어재활사들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교육 참석의 기회가 부족하고, 또한 언어학습장애의 읽기 및 쓰기 평가와 치료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전문적인 역량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적인 역량 부족은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부재를 극복하기 위해 언어재활사들은 다양한 자기 계발을 시도하지만 그러한 전략은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들은 그러한 작용 및 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써 교육과정 마련을 위해 언어재활사를 위한 문해 교육 확대, 언어학습장애 관련 체계적인 프로그램 지원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 결과
선택코딩의 중심은 핵심범주를 고르고, 다른 주요 범주들을 서로 간에 관련시키는 것이다(Strauss & Corbin, 1990). Corbin과 Strauss (2008)가 제시한 핵심범주의 여섯 가지 준거에 따라 핵심 범주를 ‘역량강화를 통한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도모’로 결정하였다. 언어재활사들은 언어학습장애의 읽기 및 쓰기(문해) 평가 및 치료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명확한 역할이 부재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양한 목표와 활동으로 언어학습장애 치료를 실시하고 있었다. 즉 언어학습장애의 문해 문제를 다루는 언어재활사의 역할에 대한 모호성을 느낀 언어재활사는 언어학습장애아동의 문해적 결함이 아닌 다른 외적인 결함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였다. 즉, 문해를 제외한 다른 언어적 결함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 혹은 치료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동의 문해적 결함이 일상생활이나 학교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문해적 결함에 대한 치료가 시급함을 절감하고 있었으며, 장기적으로도 아동의 문해적 결함에 치료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문해 교육이 활성화됨으로써 세부적인 치료법에 대한 연수를 통해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강화를 강조하고 있었다.
언어재활사들은 언어학습장애의 읽기 및 쓰기 평가 및 치료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역할의 부재뿐만 아니라 열악한 치료 환경, 부모의 특성 등에 따라서도 언어학습장애 치료에서 겪는 어려움이 다르기 때문에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알맞은 치료 환경을 조성하는 것과 더불어 아동의 환경도 함께 조성해야 함을 바라고 있다. 치료실에 문해 관련 검사도구가 배치되어 있어서 원활히 초기 치료 목표를 설정할 수 있었던 언어재활사가 있는 반면에 치료실에 문해 관련 검사도구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 아동의 문해적 결함을 가늠해서 알고, 이로 인하여 초기 치료 목표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언어재활사가 있었다. 또한 부모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가정과의 연계가 잘 되어 진전이 빠른 아동이 있는 반면에 가정과의 연계가 어려워 치료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아동이 있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 대부분이 학교와의 연계에 대해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치료 목표가 학교-부모-치료실과 일치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었다. 또한 몇몇의 부모가 치료실에 다니는 것을 숨기거나 굳이 연계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언어재활사가 아동의 치료 목표에 대한 학교와의 연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언어재활사들은 본인의 치료실과 아동의 부모 및 학교생활에 알맞은 다양한 치료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각 개인에게 주어진 조건에서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었다. 언어학습장애의 문해 문제와 관련된 전문적 지식 확보와 원활한 치료 활동 유도, 가정과 치료 연계 유도와 같이 전략적 조건이 언어학습장애를 치료하는 언어재활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침으로써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다양하게 해결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언어재활사들이 문해 관련 연수나 워크숍 등의 부재로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언어학습장애에 대한 관련 자료 부족이나 치료 교구 부족으로 언어재활사들이 사전에 치료를 준비하는 과정에 대해 많은 시간을 할애함으로써 치료 준비의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결국 언어재활사협회와 정부의 지원을 통해 언어학습장애의 초기 중재와 다양한 치료 서비스 확대와 함께 문해 교육의 활성화가 제시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적용하여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를 치료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요구를 전반적으로 탐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들과 차이성을 보여주고 있다. 즉 기존 양적연구들은 언어학습장애의 다양한 특성과 진단을 통해 언어학습장애를 정의하고자 하였으며, 언어학습장애 중재와 중재전략에 대한 효과성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또한 기존 질적연구들은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언어학습장애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임상현장에서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를 치료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일으키는 요인, 해결방안 등을 근거 이론을 통해 소상히 보여줌으로써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과 요구를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근거이론적 접근에 의해 도출된 연구결과에 따라 기초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의 읽기 및 쓰기 치료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경험하는 어려움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였던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 아동을 치료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에서의 중심적인 현상으로,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어려움’이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언어학습장애의 문해 문제와 관련된 지식의 부족을 느끼고 치료 준비의 어려움을 느낌으로써 치료에 대한 막막함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중심적인 현상을 보이게 된 것은 초기 중재의 어려움, 언어학습장애 전문성 획득의 어려움, 문해 교육의 부재 등의 인과적인 조건들에 의해 유발되고 있으며, 열악한 치료 환경과 장기적인 치료의 어려움이라는 맥락적 조건에 의해 그 정도의 크기가 다른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 전문가나 경력자에게 슈퍼비전을 받지 못하고 치료실에 문해 관련 검사도구가 부재함으로써 언어재활사가 겪는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이 커지는 것이다. 그럼에도 언어재활사는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부모의 개인적 특성, 아동 개개인의 특성 등에 알맞은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언어재활사는 언어학습장애 치료에서 제시되는 어려움을 해결하지 못한 채 치료를 하고 있으며,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강화와 정부의 언어학습장애에 대한 다각적 지원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기를 요구하고 있었다.
치료에 어려움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중재의 어려움, 언어학습장애의 문해 문재에 대한 전문성 획득의 어려움, 문해 교육의 부재라는 요인이 나타났다. 이는 Table 1의 연구 참여자의 특성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는데, 학부 과정에서 언어학습장애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언어재활사가 대다수임에도 불구하고 언어재활사로 근무한 이후에 언어학습장애 관련 연수를 이수한 경험이 없었다는 사실을 살펴볼 수 있다. 대학의 교과 과정에서 언어학습장애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였을지라도 중재를 위한 교재 등이 부족한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현장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중재 어려움을 예상할 수 있다. 결국 임상경력이 증가해도 문해를 제외한 다른 언어적 결함에 초점을 맞추거나 치료 활동의 다양성이 부재함으로써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전문성 획득이 어려운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Lee와 Huh (2016), Park 등(2018)의 연구에서 나타나듯이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와 관련하여 지식 확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문해 및 언어학습장애와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Table 1.
Participant | Age (yr)/ gender | Certificate level | Degreea | Region | Type of work facilities | Clinical career (yr) | Completion of LLD related major course | Experience of LLD related workshop |
---|---|---|---|---|---|---|---|---|
A | 25/F | 2 | Bachelor's | Gwangju | Private center | 2 | x | x |
B | 25/F | 2 | Master's | Jeolla | Hospitals | 2 | o | x |
C | 50/F | 2 | Doctoral | Gwangju | Private center | 17 | x | x |
D | 28/F | 1 | Master's | Gwangju | Private center | 6 | o | x |
E | 26/F | 2 | Bachelor's | Gyeonggi | Welfare center | 3 | o | x |
F | 27/F | 2 | Bachelor's | Gwangju | Private center | 5 | o | x |
G | 43/F | 1 | Doctoral | Gyeonggi | Educational institutions | 15 | o | o |
맥락적 조건으로 제시된 부족한 치료 환경과 장기적인 치료의 어려움을 속성 및 차원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언어재활사는 치료실에 문해 관련 검사도구가 구비되지 않는 것과 같이 정확한 평가를 내릴 수 없는 경향이 클수록 치료를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고 치료에 대한 확신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아동에게 죄책감이나 막막함을 느끼고 있었다. 언어재활사가 근무하는 기관 내에 아동의 평가를 위한 검사도구가 충분히 갖추어져 있을 때 더욱 질 높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언어재활사 또한 치료로 인한 심리적인 어려움을 덜 수 있을 것이다. 언어학습장애 언어재활사가 학교와 치료 연계가 어렵고 부모의 경제적인 부담과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아동에게 제한적인 횟수의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치료의 진전에 대한 부담감을 느껴 어려움이 커지고 있었다. 결국 언어재활사 주변의 열악한 치료 환경과 아동에게 장기적인 치료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맥락 속에서 문해 관련 검사도구가 부재하거나 부모의 경제적인 부담이 점점 심해지면서 언어학습장애 치료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중재적 조건으로 제시된 부모의 개인적 특성, 아동 개개인의 특성 등 인과적 조건들은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언어재활사가 사용하는 전략적 행동 및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참여도가 높은 부모가 있는 경우에는 가정과 원활한 치료 연계를 통해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있었다. 참여도가 낮은 부모의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부모 상담을 시도하여 부모교육을 시행함으로써 가정에서 치료가 연계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즉 이러한 부모참여는 Schreibman, Koegel, Mills와 Burke (1981)의 연구결과와 같이 언어학습장애아동의 중재나 교육상황에 부모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언어재활사의 활동을 지속하여 교육효과의 빠른 진전을 기대하고 언어재활사와 부모 간의 상호작용을 촉구할 수 있었다. 또한 언어재활사가 아동의 개개인의 성향을 고려하여 문해적 결함과 함께 아동의 사회성 증진 등의 치료 활동을 계획함으로써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이 부모와 아동의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해결될 수 있는 전망을 긍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체계적인 문해 및 언어학습장애 관련 교육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언어학습장애 치료 전문성 강화와 더불어 언어학습장애 초기 중재 지원과 다양한 치료 서비스 확대와 같은 정부의 다각적 지원으로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이 해결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는 Kim 등(2013)의 연구와 Jung (2013)의 연구와 같이 행정적, 재정적 환경 조성 및 규제 정비 측면에서 우선 현재 특수교육 대상자들의 진단평가와 식별 관련 내용에 언어학습장애 관련 항목이 반영되거나 독립된 언급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것과 일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언어재활사는 언어학습장애 전문성 획득의 어려움과 문해 교육의 부재로 인해 언어학습장애와 관련한 체계적인 경험과 교육을 쌓을 수 있는 기회조차 가질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원인들이 소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막막함을 느끼며 치료를 실시하고 있다.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에서 나타나는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음은 선행연구들(Lee & Huh, 2016; Park et al., 2018)에서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획득을 가로막는 원인으로 문해 관련 교육 참석의 기회가 부족이 계속적으로 언급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 치료와 관련한 전문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언어재활사에게 문해와 관련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기회가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원인들이 근본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언어재활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아동을 치료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는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강화와 함께 정부의 언어학습장애에 대한 다각적 지원으로 요약된다. 우선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강화는 언어재활사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과 교구의 개발과 언어재활 영역에서 문해와 관련된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Kim, Woo, Lee, Ahn과 Kang (2010), Na와 Seo (2013)의 연구에서도 언어학습장애가 어려움을 보이는 구체화된 내용, 기술, 개념별로 각각의 지도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언어재활사가 겪는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은 구체적으로 언어학습장애의 문해 문제와 이에 대한 관련 지식 부족과 치료 준비의 어려움, 치료에 대한 막막함이며, 이러한 어려움은 언어재활 분야의 언어학습장애 관련 자료와 치료 매뉴얼, 교구가 부족하다고 느낄 때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언어학습장애 중재에 대한 교재와 매뉴얼 부족에 대해서는 선행연구들(Kim, 2006; Kim et al., 2009)에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언어재활사는 매번 교구를 제작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되고, 결국 치료와 치료 준비의 부담이 가중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치료준비의 부담은 결과적으로 언어학습장애아동의 치료를 맡고 싶지 않는 것으로 연결이 되며, 이에 따라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아동의 임상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지고, 다시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확신의 부족으로 이어지며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어려움은 커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반면에 언어재활사가 치료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주변 상황을 최대한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시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직면한 문제만을 해결함으로써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였으나 새로운 치료활동을 시도하거나 언어학습장애 중재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들(Lee & Huh, 2016; Park et al., 2018)에서 나타났듯이 언어재활영역에서 문해 교육이 부족하여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원인들의 제거로 연결되지 못함으로써 전문성이 부족한 언어학습장애 치료가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문성 있는 언어학습장애 치료가 실시되기 위해서는 언어재활영역에서 언어학습장애의 문해 문제와 관련한 교육 및 프로그램이 확대됨과 함께 다양한 교구와 매뉴얼이 제시되고, 언어재활사는 아동의 개별적 성향과 수준에 알맞은 치료 활동을 전개해야한다. 또한 다양한 교구 개발을 통해 아동이 치료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언어재활사는 언어학습장애의 문해 평가와 치료에 대한 긍정적인 임상 경험을 축적하여 어려움을 유발하는 원인들을 근본적으로 제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관련 지식 부족, 치료 준비의 어려움, 치료에 대한 막막함 등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언어학습장애 치료 교구 개발 및 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언어재활사는 언어학습장애의 읽기 및 쓰기 문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역량강화를 통한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을 도모”하고 있다. 선택코딩 결과에 나타난 것처럼 본인의 치료실과 아동의 부모 및 학교생활에 알맞은 치료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임시방편적인 치료를 함으로써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언어학습장애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원인들이 소거되지 않은 상태로 언어재활사는 아동의 문해적 결함 외의 다른 언어적 결함에 치료의 초점을 맞추고 있거나, 혹은 치료 활동의 다양성이 부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언어재활사가 치료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치료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구가 개발되고 체계적인 문해 교육연수가 실시되어야 하는 등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아동 치료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상황과 어려움, 해결방안을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에 대한 이론을 생성하고 있다.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요인, 맥락, 조건, 전략 등을 분석하고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전체적인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부족한 치료 환경적인 맥락에서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전문성 획득의 어려움과 문해 교육의 부재로 인해 관련 지식 부족과 언어재활사의 역할에 대해 모호성을 느낌으로써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단순히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나열하는 것이 아닌 이러한 요인들이 등장하게 된 맥락과 조건 등을 상세히 살펴봄으로써 다각적으로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 실제를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태도와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요인들 간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새로운 관점으로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문제에 대한 관점의 전환과 방안 탐색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함의점에도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아동기 언어학습장애 치료를 경험한 언어재활사만이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성인기 언어학습장애를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둘째, 경기도와 전남지역의 언어재활사만이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의 한계성이 있었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언어재활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남성 언어재활사를 포함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넷째, 심층면접만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자료의 객관성 및 신뢰성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후속연구에서는 참여관찰과 같은 여러 자료 수집방법을 사용하여 질적 연구의 내적 타당도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연구 참여자 수의 선정 및 연구 자료의 해석에서 자료의 포화도 등을 더욱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는 다양한 기관에서 근무하는 언어재활사들이 참여하였음에도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점이 부각되지 않고 있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 철차를 통해 기관의 유형에 따른 유사점 및 차이점을 파악하여 각각의 언어재활사가 처한 상황과 조건에 근거하여 세심하고 실질적인 정책이 마련되길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