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ommun Sci Disord > Volume 26(3); 2021 > Article
국내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부모교육 연구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체계적인 문헌고찰 방법에 따라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부모교육 논문 19편의 질적평가를 실시하고, 부모교육의 특성과 내용, 효과성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선정된 19편의 논문은 전반적으로는 비뚤림 위험이 낮았으며, 부모교육 논문은 연간 1편 미만으로 출판이 저조하였다. 선정된 논문의 실험 참여자는 상당수가 어머니와 아동이었으며, 주로 취학전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연구에서는 실험연구를 통해서 효과성을 검증하고 있었으며,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과 관련된 질적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은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향상을 통한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중재효과는 긍정적이었다.

논의 및 결론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장애 유형, 부모 요구, 사회 변화를 고려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연구가 필요하며,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서 효과적인 부모교육의 콘텐츠 및 코칭전략에 대한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regards to parent training and the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in Korea,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arent training for improvement of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and to provide evidence-based directions for parent training.

Methods

A search of 4 databases, and manual searching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1,222 relevant articles in domestic journals. The 19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20 in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s (PICO) criteria. Three authors did article selection, data extraction, and quality assessment using the Risk of Bias for Nonrandomized studies (ROBANS).

Results

First, the quality of selected articles was high overall. Second, very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training intervention on the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Third, most programs have been provided for mothers and no program focused on supporting fathers. Most programs focused on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Fourth, regarding studies on research type and method of data collection; most studies were conducted by experimental study. Lastly, areas of measurement involved participant interactions, development, parent perceptions, and parent experiences. The research studies reported positive effects of parent training intervention on the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identified studie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atic review are discussed,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research and practice for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regarding parent training intervention.

부모는 아동이 태어나서 가장 먼저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환경이자 의사소통 파트너이며, 부모와 아동의 초기 사회적 상호작용은 가족, 또래, 선생님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기초가 된다. 또한, 부모는 아동의 생애 초기부터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존재로, 아동의 신체, 인지, 사회정서, 언어 능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모가 제공하는 언어 자극(linguistic input)은 아동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부모와 의사소통장애 아동과의 상호작용 양(quantity)과 질(quality)은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oberts, Kaiser, Wolfe, Bryant, & Spidalieri, 2014). 예를 들면, 부모가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아동의 어휘력이 높으며, 부모가 아동의 관심에 맞추어서 말하고 반응해줄 때 아동은 새로운 어휘를 잘 습득할 수 있다(Moore & Dunham, 1995). 즉, 부모가 아동중심적인 상호작용을 시도할 때 아동의 의사소통 및 사회 정서 발달이 촉진될 수 있는 것이다. 부모의 언어 자극과 아동의 언어 발달 사이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부모가 언어촉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동의 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모에게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필요한 기술, 전략, 태도 등을 가르쳐주는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부모교육은 부모훈련, 부모지지, 부모참여, 부모개입, 부모역할 등의 용어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정의도 학자에 따라 다양하다. Steiner, Koegel, Koegel과 Ence (2012)는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 결과에 영향을 미칠 부모행동을 강화하거나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적 노력’이라고 하였으며, Shin과 Kim (2011)은 ‘부모가 부모역할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정보나 지식을 전달하거나 전략 및 기술을 가르치는 교육적인 활동’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부모교육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마다 다양하지만, 부모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한 기술과 행동을 교육한다는 측면에서는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1960년대 후반에 아동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부모교육이 실시되었으며(Ko, 2017), 이와 더불어 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의 필요성도 자연스럽게 대두되게 되었다. 출산한 아이한테 장애가 있다면, 부모는 심각한 양육 스트레스, 상실감, 낮은 자존감, 슬픔, 사회경제적 부담 등을 경험할 수 있다(Kim & Jeong, 2013). 이에 따라, 부모가 자녀의 장애의 본질을 이해하고 부모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정보와 기술을 제공하는 부모교육은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장애 아동의 부모교육은 부모와 아동 간의 애착관계를 발전시키고, 부모가 아동에게 적절한 언어 및 의사소통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부모의 스트레스 감소, 양육 자신감과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Moon & Kim, 2013), 아동의 사회성과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Matson, Mahan, & Matson, 2009). 언어치료 전문가는 부모가 의사소통장애 아동과 최적화된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효과적인 언어 전략을 가르칠 수 있으며, 부모가 자녀와의 의사소통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언어치료 전문가가 부모에게 아동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방식을 가르치는 것은 아동에게 더 많은 언어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동이 습득한 의사소통 기술의 일반화와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부모교육의 효과는 장기적, 지속적, 누적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언어치료 전문가는 부모에게 교육을 실시하고 부모가 배운 내용을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서 일반화할 수 있도록 촉진해야 한다. 또한, 부모교육은 교육 효과의 극대화, 부모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 촉진에 도움이되어, 아동의 장애로 발생될 수 있는 이차적인 문제 및 장애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국외에서는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이 실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는 It Takes Two to Talk (ITTT) (Weitzman, 2017), More Than Words (Sussman, 2012), Books Used in Dialogic Reading program (Whitehurst et al., 1994) 등이 있다. Weitzman (2017)의 ITTT 프로그램은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주며, 아동의 장애유형에 상관없이 부모의 자신감과 효능감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ussman (2012)의 More Than Words 프로그램은 자연스러운 일상 맥락에서 아동의 사회성, 의사소통 능력 및 어휘 발달을 도와주며, 부모가 아동과의 의사소통 기회를 최적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Whitehurst 등(1994)의 대화식 읽기 부모교육은 책 읽기의 맥락에서 아동이 어휘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었으며, 장기적으로는 언어 및 사전 문해력을 향상시켜 아이들이 학교를 시작할 때 읽기 및 기타 학업 과제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부모가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주요 언어 촉진자가 될 수 있었으며, 일상생활에서 아동의 의사소통 기회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전문가에 의해서 시행되고 있으나 장애유형 및 가족의 요구도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개발, 시행, 효과검증은 미비한 실정이다. 점차로 가족의 상황을 고려하고 언어치료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부모를 언어치료에 참여시키고 협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부모교육의 요구도는 높아지고 있다. 선행 연구(Lee & Seok, 2006)에 따르면, 장애 아동의 부모들은 부모 자조그룹 형성, 개별화된 가족지원 프로그램, 부모가 집과 학교 등에서도 쉽게 아동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의사소통 방법과 기술이 갖춰진 프로그램, 장애영역별 세분화된 부모교육 등으로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Lee, Kim, Kim, & Park, 2005; Lee & Seok, 2006).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사회 변화에 따른 부모세대의 특성과 가치관의 변화로 달라질 수 있으며, 장애 아동의 생애주기에 따라 부모교육의 요구도와 필요도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체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관련 분야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해보는 것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문헌고찰 방법에 따라 국내에서 최근 20년간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실시된 부모교육 연구를 조사하여 특성과 내용, 효과성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부모교육 연구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설계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연구 특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된 체계적인 문헌고찰 연구이다.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보고 지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Moher et al., 2015). 본 연구에서는 3명의 연구자가 분석대상 논문의 선택과 자료 추출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자 간에 의견이 일치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논의를 거쳤다.

문헌 검색 전략

문헌 검색 전략을 정하기 위하여 2021년 1월에 구글스칼라(google scholar) 데이터베이스에서 ‘부모교육’, ‘부모참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간략 검색을 실시하였다. 검색된 문헌을 토대로 평가질문(Population-Intervention-Comparison-Outcome, PICO)을 확인한 후에 검색어를 선정하였으며, 논문 검색 데이터베이스별로 제공되는 고급 검색 기능을 고려하여 검색어를 ‘부모교육’, ‘부모참여’,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역할’, ‘행동’, ‘가족참여’, ‘부모참여 프로그램’, ‘장애 아동’, ‘부모-아동 상호작용’을 검색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이때, 논문 누락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검색어를 동의어로 바꾼 단어들을 함께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구글스칼라(google scholar),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원(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를 사용하였다. 논문의 게재 연도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로 제한을 두었으며, 분석대상 논문 선정을 위한 최종 검색은 2021년 2월 12일에 수행하였다.

핵심 질문과 문헌 선택 기준

본 연구의 핵심 질문은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내용과 효과’였다. 논문 선정을 위한 PICO를 살펴보면, 연구 대상자(population)는 ‘장애 아동의 부모’, 중재법(intervention)은 ‘부모교육’, 대조군(comparison)은 ‘부모교육 무실시’, 혹은 ‘중재 전과 후(반복 측정)’, 중재에 대한 효과성(outcome)의 지표는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부모-아동 간 상호작용 기술’이었다.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현황과 효과성을 포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논문 선택 시 연구유형을 제한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관련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성을 결과로 보고한 연구’, ‘한국어로 출판된 연구’, ‘학술지(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출판된 논문’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택하였다. PICO 전략에 대한 용어 및 정의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최종 문헌 선정

총 4개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총 1,222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중복 발표된 연구 52편을 제외하였다.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부모교육과 적합도가 낮은 논문, 학술지(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게재되지 않은 논문, 회색문헌(conference abstract), 부정확하게 표기된 논문 1,078편을 제외하였다. 이후, 92편의 논문의 원본(full text)를 확인하여 본 연구의 PICO에 적합하지 않은 논문 76편을 제외하였다. 선정된 16편의 논문의 참고문헌을 확인하여 적합한 논문 3편을 추가하여, 최종적으로 19편을 선택하였다(Figure 1).

질적 평가

본 연구에서는 Risk of Bias for Nonrandomized Studies (RoBANS) version 2.0을 이용하여 선택한 논문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RoBANS는 비무작위 연구의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평가도구로, 여러가지 연구설계를 모두 평가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진 도구이다. RoBANS는 대상군 비교 가능성, 대상군선정, 교란변수, 노출 측정, 평가자의 눈가림, 결과평가, 불완전한 결과자료, 선택적 결과보고의 총 8개 영역의 비뚤림(bias) 위험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영역에 대한 비뚤림 위험에 대해서는 ‘낮음(Low)’, ‘높음(High)’, ‘불명확(Unclear)’으로 체크리스트 방식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연구자 2명이 독립적으로 논문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결과가 상이한 경우는 의논하여 평가 결과를 조정하였다. 본 연구의 질 평가 결과는 Revman (Cochrane Community, Oxford, UK) version 5.0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신뢰도 확인

The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AMSTAR)에서는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고 명확한 기준과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연구자 2명 이상이 논문의 선정과 코딩을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Seo & Moon, 2017). 본 연구에서는 분석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 연구자 2명이 논문에 대한 세부 변수를 독립적으로 코딩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대한 일치도(agreement)를 산출한 결과, 94.7%였다.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정성적 분석방법(qualitative analysis)을 적용하였으며,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의 내용과 효과성 분석을 타당하게 하고자 King과 Xu (2019)의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Huang과 Lee (2015), Kim, Lee와 Cho (2021), Ko (2017)의 분석방법을 재구성하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먼저, 분석대상 논문의 저자, 출판연도, 대상자 및 대상자 수, 연구설계, 중재방법 및 내용, 회기 기간 및 횟수, 유지기간 유무, 종속변인, 중재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대상자는 부모(어머니, 아버지)와 아동(장애유형, 연령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연구, 단일대상 사전사후검사 비교연구, 이질집단 사전사후 비교연구, 통제집단 사전사후 비교연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중재방법 및 내용은 부모교육 프로그램, 중재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중재 전략의 경우 부모와 아동 간 의사소통 향상을 위해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부모에게 중재한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종속변인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측정한 부모와 아동 관련 변인으로, 부모의 의사소통 기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효과는 종속변인의 수치 변화와 유의수준에 초점을 두어서 분석하였다. 분석틀에 따라 논문 19편을 분석하였으며,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논문은 저자 3명이 논의하여 최종적인 합의 과정을 거쳐서 분석 내용을 결정하였다. 해당 자료의 결과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대상 논문의 일반적 특성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연구의 평가를 위해서 선택된 논문은 총 19편으로, 선택된 논문 중 10편(52.6%)은 2001년부터 2010년 사이에, 나머지 9편(47.4%)은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출판되었다. 2007년과 2008년에 6편(31.6%)이 출판되어 부모교육 논문의 출판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최근 20년간 매년 평균 0.95편이 학술지에 출판되었다(Table 2).
연구 참여자 수를 살펴보면, 어머니 151명(48.1%), 치료사 5명(1.6%), 아버지 1명(0.3%), 장애 아동 149명(47.5%), 일반 아동 8명(2.6%)으로 총 314명이었다. 부모교육에 참여한 대상자가 30명 이상인 논문이 2편(10.5%), 10명 이상 30명 미만인 논문이 8편(42.1%), 5명 이상 10명 미만인 논문이 7편(36.8%), 5명 미만인 논문이 2편(10.5%)이었다.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장애유형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52명(34.9%), 언어발달지연 50명(33.6%), 조음장애 17명(11.4%), 청각장애 13명(8.7%), 유창성장애 6명(4.0%), 신경언어장애 4명(2.7%), 단순언어장애 3명(2.0%), 지적장애 3명(2.0%), 중복장애 1명(0.7%)이 있었다. 아동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취학전 아동 14편(73.7%), 영유아 3편(15.8%), 학령기 아동 2편(10.5%)이었다. 연구설계별로는 통제집단 사전사후 실험연구가 7편(36.8%), 단일대상 사전사후 실험연구가 5편(26.3%), 대상자 간 간헐중다기초선설계가 5편(26.3%), 행동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가 1편(5.3%), 단일대상설계 중 AB 설계 1편(5.3%)이었다(Table 2).

문헌의 질 평가 결과

문헌의 질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 선택한 논문 19편은 대상군 비교가능성, 대상군 선정, 노출 측정, 결과평가, 선택적 결과보고 영역에 대한 비뚤림 위험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분석한 논문 모두 대상자 집단은 부모교육의 전과 후에 동일하고 자료수집이 전향적으로 이루어져서, 대상자군 비교가능성과 대상자군 선정에서의 비뚤림 위험이 낮게 평가되었다. 19편에서 연구자가 표준화된 검사 혹은 타당도가 입증된 방법으로 대상자의 변화를 측정하여, 평가와 관련된 노출 측정, 결과평가 영역에 대한 비뚤림 위험이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분석한 논문 모두 중재에 관한 프로토콜과 주요 결과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어서, 선택적 결과보고 비뚤림에 대한 위험도 낮았다. 19편 중에서, 부모교육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란변수를 확인하고 연구설계나 분석단계에서 보정한 연구는 6편이었으며, 교란변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논문이 13편으로, 교란변수 영역의 비뚤림에 대한 위험이 낮지 않았다. 부모교육 시 연구 참여자의 탈락률을 보고하지 않거나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논문이 17편(89.5%)으로, 불완전 자료 영역의 비뚤림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연구자의 눈가림 여부에 대해서 보고한 논문은 없어서, 평가자의 눈가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없었다(Figure 2).

부모교육의 내용

선택된 19편 논문은 모두 부모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를 통해서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었다. 중재 수준을 분석한 결과, 부모 대상 집단적 중재가 12편(63.2%), 개인적 중재가 7편(36.8%)이었다. 이 중에서, 부모와 아동 간 상호작용 촉진 및 유지 전략 중재 7편(36.8%), 환경중심 및 아동중심 언어 전략 중재 6편(31.6%), 상호작용 책 읽기 전략 중재가 3편(15.8%), 비유창성 감소를 위한 이완 전략 중재 1편(5.3%), 유창성 증진 전략 중재 1편(5.3%),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 전략 중재 1편(5.3%)이었다(Table 2).
중재 기간은 1-2개월 7편(36.8%), 3-4개월 6편(31.6%), 5-6개월 이상이 2편(10.6%), 중재 기간이 보고되지 않거나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4편(21.1%)이었다. 중재 빈도는 11-20회 8편(42.1%), 6-10회 5편(26.3%), 2-5회 2편(10.6%), 21회 이상 2편(10.6%), 1회 1편(5.3%), 중재 빈도에 대해서 보고하지 않은 논문이 1편(5.3%)이었다. 중재 시간의 경우, 1-2시간 5편(26.3%), 1시간 미만 4편(21.1%), 2시간 이상 1편(5.3%), 중재 시간에 대해서 보고하지 않은 논문이 9편(47.4%)이었다(Table 2).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의 효과성

장애 아동의 부모교육에 대한 중재의 효과성은 부모의 의사소통 행동,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부모와 아동 간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부모교육의 효과를 부모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로만 평가한 논문은 2편(10.5%),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변화로 평가한 논문은 4편(21.1%), 부모와 아동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변화를 평가한 논문은 13편(68.4%)였다. 이때, 부모교육의 효과성 측정 시,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사용한 논문은 1편(5.2%), 부모와 아동 간 상호작용 과제를 사용한 논문은 15편(78.9%), 표준화된 검사도구 및 부모와 아동 간 상호작용 과제를 함께 사용한 논문은 3편(15.7%)이었다(Table 2).
부모교육 효과를 부모를 중심으로 살펴본 논문에서는 부모의 상호작용 전략 사용 빈도, 의사소통 유형 수, 의사소통 기술 전략 사용 빈도,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 사용 빈도가 증가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아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논문에서는 의사소통 기능의 다양화, 의사소통 기능의 빈도 및 유형 수, 언어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 빈도, 수용 및 표현언어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의 경우는 비유창성 빈도와 부수행동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아동-부모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본 논문에서는 부모-아동 간 상호작용 시간이 늘어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 행동의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향상에 초점을 둔 부모교육 연구의 내용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최근 20년간 국내 학술지에서 출판된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부모교육의 효과성을 보고한 논문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부모교육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 문헌의 질 평가, 부모교육의 내용 및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된 장애 아동의 부모교육의 평가에 선택된 논문은 총 19편으로 최근 20년 간 매년 평균 0.95편인점을 고려하면,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둔 부모교육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언어병리학 연구의 초점이 장애유형에 따른 말, 언어 특성, 직접 중재의 효과성 검증에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언어병리학 연구 주제로 부모교육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높지 않은 점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Park, 2017).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연구는 전문가의 협업 및 전문 지식과 경험이 요구되며, 연구에 소요되는 시간이 긴 점도 작용되어, 부모교육 관련 논문의 출판 편수가 저조한 것으로 생각된다.
선택된 19편의 논문에서, 연구 참여자의 수가 10-30명 미만인 경우가 42.1% (8편)으로 가장 많았고, 30명 이상인 경우는 10.5% (2편)에 불과하였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 부모가 여러 차례 교육에 참여해야 하는 부모교육 연구의 특성상 부모의 지속적인 협조 없이 대규모 연구를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논문의 대다수가 집단 사전사후 실험연구(12편)이었으며, 나머지는 단일대상연구(7편)였다. 집단설계연구와 단일대상연구는 부모교육의 실시를 통한 부모나 아동의 행동 변화를 수치의 변화로 확인함으로써 부모교육의 효과성을 규명하는데 유용하지만, 데이터만으로는 알 수 없는 부모교육에 참여한 대상자의 경험, 생각, 감정 등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실험연구 외에도 문화 기술적 연구를 통해 실제적으로 수요자 중심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에 대한 폭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선정된 논문의 연구 참여자는 어머니와 장애 아동이 전체 연구 참여자의 95.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아버지의 비율은 0.3%에 불과하였다. 현재 한국 사회는 자녀 양육과 역할 분담이 양성 부모 모두에게 중요시되고 있으며, 과거보다 가정 내 아버지에 대한 역할이 아동의 발달 측면에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Seo & Lee, 2014). 선행연구(Baruch & Barnett, 1986; Kwon, 2010)에 따르면, 아버지가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아버지 역할에 대한 만족감, 역할 효능감, 자신감이 향상될 수 있고, 아버지와 아동 간에 정서적 친밀감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질적인 측면과 양적인 측면 모두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Kwon, 2010). EBS 육아학교 프로그램에서 아버지가 아이의 학업 성취도, 사회성, 결혼생활에 긍정적인 역할을 미친다는 내용을 방영하였으며, SBS 행복시리즈에는 미 보건복지부에서는 매년 2천만 달러를 지역사회의 아버지 프로그램에 지원한다는 내용을 방영한 바 있었다(Kim, 2018). 이처럼 현대사회에서는 아버지 부모교육에 대한 시선과 중요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이, 국내에서는 일반 아동 교육 관련해서는 아버지를 중심으로 하는 부모 상호작용 및 교육 프로그램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나, 언어치료 분야에서는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장애 아동의 양육이 부모에게 장기간 동안 상당한 에너지와 헌신을 요구하는 것을 고려할 때, 양성 부모가 부모교육에 참여하여 자녀와의 상호작용 촉진, 양육 스트레스 감소, 부모 효능감 향상에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선정된 논문에서 연구에 참여한 아동의 장애유형을 살펴보면, 자페스펙트럼장애가 34.9%, 언어발달지연이 33.6%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조음장애, 청각장애, 유창성장애 등으로 다양한 장애유형이 포함되어 있었다. Hong과 Lee (2017)가 의사소통장애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동의 장애유형에 따라 프로그램의 요구도가 상이하였으며, 장애 중증도에 따라서도 부모가 선호하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부모는 전문가의 치료교육 활동에 대한 시범을 보여주고 부모가 실제로 활동에 참여하여 의사소통 전략을 익힐 수 있는 워크숍을 가장 원하고 있었다. 유창성장애 아동의 부모는 장애 특성, 발달 과정에 대한 지식을 전달해주는 부모교육을 선호하였다. 한편, 국내 부모교육 연구의 대상 아동의 연령대는 주로 취학전기(14편)였으며, 영유아와 학령기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각각 3편, 2편으로 적었다. 장애 아동의 경우, 전생애기에 걸쳐서 의사소통 어려움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모니터링하고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영유아기와 취학전기에는 부모 및 또래와의 의사소통이 중요하지만, 학령기에는 학습을 위한 읽기, 쓰기 기술이 중요하며, 청소년기에는 자아정체성 확립, 진로 선택과 관련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Kim (2008)은 장애유형에 따라 아동의 친구관계, 학교생활, 지역사회의 자원들이 상이하기 때문에, 장애 특성을 고려한 가족 지원 서비스 제공을 강조한 바 있다. 이처럼,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의 개발에서도 장애유형별 부모의 요구도와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적용한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와 효과성 검증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문헌의 질 평가 결과, 선정된 논문 19편 모두 대상자 집단이 부모교육 전과 후에 동일하고 자료수집이 전향적으로 이루어져서 대상군과 관련된 비뚤림 위험이 낮았다.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방법으로 대상자의 변화를 측정하여 노출 측정과 결과평가에 대한 비뚤림 위험이 낮았으며, 부모교육 프로토콜과 주요 결과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선택적 결과보고에 대한 비뚤림 위험도 낮았다. 하지만, 부모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란변수의 확인과 보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확인할 수 없는 논문이 높은 비율(68.4%)을 차지하고 있어서 교란변수에 대한 비뚤림 위험이 낮지 않았으며, 참여자의 탈락률에 대해서 보고하지 않거나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논문이 19편(100%), 연구자의 눈가림에 대해 보고하지 않는 논문이 19편(100%)으로, 불완전 자료와 연구자의 눈가림 여부에 대한 비뚤림 위험이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부모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 참여자의 탈락률에 대한 명시, 부모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의 확인 및 연구설계를 통한 보정, 평가자의 채점 과정에서의 눈가림과 같은 노력을 해야할 것이다.
선정된 부모교육 연구들은 모두 부모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를 통해서 장애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대다수가 부모 대상 집단적 중재가 63.2% (12편)이었으며, 개인적 중재는 36.8% (7편)이었다. 부모교육 내용을 살펴보면, 상당수는 부모와 아동 간 상호작용 촉진 및 유지 전략, 환경 중심 및 아동중심 언어 전략 중재가 68.4% (13편)이었으며, 상호작용 책 읽기 전략, 비유창성 감소를 위한 이완 및 유창성 증진 전략, 보완대체의사소통 전략 중재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아동의 장애 유형에 따라서 부모에게 요구되는 상호작용 전략 및 의사소통 행동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아동의 장애유형에 적합한 부모교육 콘텐츠를 풍부하게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부모는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발달을 위해서 지식을 학습하고 의사소통 행동을 변화시킬 의지가 있는 대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연구자는 중재 수준(집단, 개인)을 고려한 일반 성인교육 모델의 관점에서 효과가 높은 교수 전략과 방법을 고민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11-20회(42.1%)로 연속적으로 제공된 경우가 많았으며, 중재 시간은 1-2시간(26.3%), 중재 기간은 1-2개월 (36.8%)이 가장 많았다. 장애 아동의 치료는 장기간 동안 진행되는데 반해, 부모교육이 단기간 동안 진행되는 것은 짧은 기간 동안이라도 부모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과 부모교육이 장애 아동의 언어치료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지 않는 점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또한, 부모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중재 기간, 빈도, 시간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것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모교육에 대한 중재의 효과성은 아동과 부모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변화를 확인한 논문(68.4%)이 대다수였으며,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변화를 확인한 논문(21.1%), 부모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만을 확인한 논문(10.5%)도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부모교육을 통해서 부모의 의사소통 행동의 긍정적인 변화, 장애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부모-아동 간 상호작용 시간 및 행동 빈도 증가를 확인하였다. 부모교육의 대상이 부모이기 때문에 부모의 행동 변화를 측정하는 것도 중요하나, 부모교육의 목적이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기 때문에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를 측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에서는 부모교육의 목적이 부모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 촉진에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부모와 아동 간 놀이 상황과 대화 상황에서의 자료를 토대로 부모와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를 측정하였다. 향후에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부모와 아동의 행동 변화 외에도 부모 효능감 및 만족도 등의 심리적 변화를 설문지, 면담 등으로 다각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살펴볼 때,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연구는 다양한 장애 영역에서 진행되기는 하였으나 의사소통장애 특성 연구 및 중재 연구에 비해서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부모교육 연구가 취학전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향후에는 다양한 연령대로 확장되어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부모교육이 부모의 언어발달 촉진 전략 사용과 의사소통 행동,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부모-아동 간의 상호작용 촉진에 효과가 있으나,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내용 전달 방법은 매우 상이하고 근거가 불확실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을 통해서 부모들이 습득하는 지식과 의사소통 전략 사용의 일반화의 정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부모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수 방법과 내용 전달 방법에 대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언어치료 전문가는 성인교육의 모델을 근거로하여 부모가 부모교육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향후에는 전문가가 부모와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부모가 자녀의 장애의 본질을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자녀의 의사소통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적극적인 부모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분석한 문헌의 수가 19편으로 충분하지 않고, 문헌의 질 평가에서 비뚤림 위험이 확인되어 부모교육의 효과성을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에 대해서만 분석했기 때문에, 국외 부모교육 연구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 프로그램의 강점 및 약점,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할 수는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연구에 대한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개발될 부모교육의 방향성과 고려사항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Notes

(*indicates studies used for systematic review)

Figure 1.
PRISMA flow diagram for the literature search.
csd-26-3-727f1.jpg
Figure 2.
Tabular representation of risk of bias in individual studies.
(+)=low risk of bias; (?)=some concern of bias; (-)=high risk of bias; P=the possibility of the target group comparisons; T=target group selection; C=confounder; E=exposure measurement; B=blinding of assessors; O=outcome assessment; I=incomplete outcome data; S=selective outcome reporting
csd-26-3-727f2.jpg
Table 1.
Inclusion criteria based on the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s (PICO) strategy
PICO Contents
Participants Parents of children with disorders
Intervention Parent training
Comparison Non-education, before and after parent training
Outcomes Parent use of language teaching strategies/facilitation language techniques, children’s communicative skills, parent-child interaction skills
Table 2.
Summary of the extracted and synthesized data from selected studies (N=19)
Study Population Study design Intervention, strategy Intervention duration, session Maintain period Dependent variables Findings
Lee & Seo (2002) 1 Pair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Home-based parent support program : general cue, attention, reinforcement of the infant’s response, and imitation reaction 6 MOS, 7-48 session (mean:26), 1 hr for each session Y - Child’s language and behavior of daily life - Enhancement and generalization of language
- 1 Child with ASD (3;10)
- 1 Mother
Kim (2003) 30 Pairs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 child-centered Education program 4 MOS, 10 sessions N - Child’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 Milieu language teaching: language imitation** and response*
- 30 Children with LLD (age ranged: 2;0-3;3) - Child-oriented language teaching: verbal requesting** and explanation*
- 30 Mothers
Kim & Ok (2005) 1 Pair Single-case design (AB design) Vocal tract relaxation program: Motivation to change of stuttering behavior, helping parents modify their stuttering behavior 2.5 MOS, 10 sessions N - Child’s frequency of stuttering, duration of block, physical concomitant behavior - Decrease of the frequency of stuttering, duration of block, and physical concomitant behavior
- 1 Child with FD (4;11)
- 1 Mothers
Kim & Lee (2007) 4 Pair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Hanen center’s ITTT program: Strategy for maintaining ITTT interaction 2 MOS, 10 sessions N - Parent’s frequency of use interaction, facilitation strategies, optimal response, complexity and quantity of speech - Parent: Increase of the interaction promotion strategies and optimal response, decrease of the complexity and quantity of speech.
- 4 Children with LDD (mean: 2;1, age range: 1;9-2;4)
- 4 Mothers - Child’s frequency and type of communication function - Child: increase of the frequency and type of communication function.
Lee & Seok (2007) 10 Pair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facilitation strategy, milieu language teaching strategies 4 MOS, 85 sessions, 50 min for each session N - Child’s receptive vocabulary and cognitive ability - Receptive language skill***, language comprehension and cognitive ability*
- 10 Children with HL (EXP) mean: 3;7, age ranged: 3;3-4;6 (CON) mean: 4;3, age ranged: 3;4-5;6)
- 5 Mothers
- 5 SLPs
Choi & Lee (2007) 3 Pair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Responsive behavior strategies: parent-child interaction strategies (-), 15-19 sessions (Mean:16.7), 50 min for each session Y - Parent & Child’s participation time of interaction - Parent-child interaction time
- 3 Children with ASD or LD (mean: 4;6, age ranged:4;4-4;11)
- 3 Mothers
Oh et al. (2008) 6 Pair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Shared book reading program (It takes two to talk): Book reading interaction strategy 1 MOS, 4 sessions N - Parent’s Positive language behavior, negative language behavior - Parent: Increase of the positive language behavior, decrease of the negative language behavior
- 6 Children with LDD/SLI mean: 4;2, age ranged: 3;4-5;5) - Children’s change of behavior, MLU, utterance/min, NDW - Child: Increase of the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linguistic aspects, MLU, utterance/min and NDW
- 6 Mothers - Parent-child: Increase of the interaction time
Oh (2008) 3 Pai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Parents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Milieu language teaching strategy, child-oriented language teaching strategy (-), 20 sessions Y - Parent’s Communication skill - Parent: Improvement and generaliz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 3 Children with HL (3;0-6;0)
- 3 Mothers
Lee & Song (2008) 22 Pairs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ent education program: Follow the child’s lead, adding new experiences and words, Using nonverbal and verbal contexts 2 MOS, 12 sessions, 1 hr for each session N - Parent: degree of change in interaction behavior - Parent: K-MBSS**
- 22 Children with ASD - Child’s language ability, degree of variation in spoken language function - Child: CSBS ***
(EX P) mean: 3;4, age ranged: 2;3-3;10
(CO N) mean: 3;3, age ranged: 2;11-4;0
- 22 Mothers
Kwon & Shin (2010) 4 Pai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Shared book reading program: Picture Book Reading Strategy 1 MOS, 12 sessions, 20 min for each session Y - Interaction time between parent and child - Parent: Verbal interaction type was changed and increased
- 4 Children with ASD (5;0-7;0) - Parent’s changed performance of verbal interaction type - Parent-child: Increase of the picture book reading time
- 4 Mothers
Jung et al. (2012) 4 Pair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ent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ve abilities: Follow the child’s lead, Turn-taking 4 MOS, 10 sessions, 65 min for each session N - Parent’s optimal response, quality and quantity of speech, demand, response, initiation - Mother: Decrease of the demand form**, increase of the response form**, and linguistic mapping
- 4 Children with NLD (mean: 4;5, age ranged: 5;5-4;5)
- 4 Mothers - Child’s Speech intelligibility - Child: word-level speech intelligibility**
Kim & Park (2013) 6 Pair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Creating an environment for communication opportunities, waiting, request, modeling, response 3 MOS, 12 sessions N - Parent’s wait, require, modeling, response - Parent: request*, modeling*, response*, total Communication Strategy*
- 6 Children with ID, MD or ASD (mean: 8;5, age ranged: 5;0-11;0)
- 6 Mothers - Child’s ratio of communication prevalence, turn-taking, communication pattern - Child: ratio of communication occurrence*
Bong & Lee (2013) 3 Pai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Parental training program focused on a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y: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ies 5 MOS, 20 sessions Y - Parent and child’s social interactions,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f social interaction - Parent-child: Increase of the social interactions.
- 3 Children with ASD (mean: 3;5, age ranged: 2;0-4;0)
- 3 Mothers
Ha (2013) 17 Pairs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ent education (ITTT): Language facilitation Strategy, Core interaction Strategy 3 MOS, 3-4 hr for each session N - Parent’s complexity of speech and interaction style - Mother: decrease of the NDW* and increase of the respond*
- 17 Children with AD
(EX P) mean: 1;7, age ranged: 1;1-2;1 - Child’s expressive language and speech production - Child: raw scores of the SELSI* and KMB-CDI**, number of consonant inventory*, variety of syllable structures*, NDW*, MLU*, and gesture*
(CO N) mean: 1;4, age ranged: 1;1-1;11
- 17 Mothers
Kim & Shin (2016) 5 Pairs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ents’ education on reducing disfluencies: Creating fluency (-), 1 session, 2 hr for each session N - Parent’s Changes in parental attitudes, words, and behavior - Child: decrease of the frequency of stuttering*
- 5 Children with FD
(EX P) mean: 5;0, age ranged: 4;4-5;6 -Attitude - Child’s stuttering frequency
(CO N) mean: 5;3, age ranged: 4;0-6;6 -Speaking and acting
- 5 Mothers
Jo & Jung (2016) 5 Pair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ents-centered 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facilitation strategy 4 MOS, 12 sessions N - Parent’s frequency and type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reakdown - Parent: frequency and type of communication behavior
- 5 Children with LDD (mean: 3;0, age ranged: 2;8-3;4) - Child: increase of the frequency and type of communication behavior
- 5 Mothers - Parent-child: decrease of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reakdown
Cheon & Yim (2016) 14 Pairs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ental education using an utterance-analyzing application (Hanen Centre’s More Than Words): Follow the initiative of the child, interaction facilitation strategy 2.5 MOS, 10 sessions, 60-90 min for each session N - Parent and child’s number of utterances and initiation - Parent: Decrease of the number of utterances, decreased of the initiation rate, increase of the response rate and number of cue*
- 14 Children with ASD - Parent’s number of cues
(EXP) mean: 4;4 - Child’s response rate - Child: increase of the number of utterances and initiation rate, decrease of the child's response
(CON) mean: 4;3
- 14 Mothers - Parent-child: increase of the number of conversation turns*
Yim et al. (2018) 16 Pairs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Shared book reading program (ITTT): Strategy for maintaining interaction, language facilitation strategy, book reading strategy 1.2 MOS, 5 sessions N - Parent’s attention, explanation, response inducing strategy, feedback strategy, conversational Turn-Taking, time to read a book - Parent: response*
- 16 Children - Child: amount of utterance*
- 8 children with LDD (mean: 4;6) - Child’s quality and quantity of speech (amount of utterance, MLU-w) initiation, Turn-Taking, time to read a book - Parent-child: time to read a book*, turn-taking*
- 8 children with TD (mean: 4;7)
- 15 Mothers & 1 father
Kim & Kim (2019) 3 Pai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Parent education using the photocentered class note (-), 13 sessions, 30 min for each session Y - Parent’s participation time of communication, frequency and type of communication - Parent: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
- 3 Children with ASD (mean: 5;0, age ranged: 4;7-5;2) - Child: Increase of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 3 Mothers - Child’s frequency and type of communication behavior - Parent-child: Increase of the communication time

ASD=autism spectrum disorder; MOS=months; hr=hour; Y=yes; LLD=Language developmental delay; HL=hearing loss; N=no; FD=Fluency disorder; ITTT=It takes two to talk; EXP=experimental group; CON=control group; MLU=mean length of utterance; NDW=number of different words; K-MBRS=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Kim & Mahoney, 2013); K-CBRS=Korean Child Behavior Rating Scale (Kim & Mahoney, 2013); NLD=Neurogenic language disorder; ID=Intellectual disability; MD=Multiple disabilities; AAC=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SELSI=Sequenced of Language Scale for Infants (Kim, Kim, Yoon, & Kim, 2003) ; K-MB-CDI=Korea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Developmental Assessment of Speech Perception (Pae & Kwak, 2011); LDD=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D=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 p<.05,

** p<.01.

REFERENCES

Baruch, GK., & Barnett, RC. (1986). Consequence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parents’ role strain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5):983–992.
crossref pmid
*Bong, GY., & Lee, SH. (2013). The effect of a parental training program focused on a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y on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multicultural parents and thei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7(4):113–138.

*Cheon, SH., & Yim, DS. (2016). The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 using an utterance-analyzing application on initiation, response, and turn-taking in conversations between children with ASD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5(3):87–103.
crossref
*Choi, YH., & Lee, SH. (2007). The effects of mother training for responsive behavior strategies on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7(2):179–207.

*Ha, SH. (2013). The effect of a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through parental training for you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2(3):189–212.
crossref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Revision of study design algorithm and bias risk assessment tool.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ong, SH., & Lee, EK. (2017). A study of the need for research model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6(4):187–204.
crossref
Huang, H., & Lee, Y. (2015). A review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21(6):287–320.
crossref
*Jo, YJ., & Jung, KH. (2016). The effect of parents-centered language intervention on the communicative behaviors and communication breakdown of infant with language dela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3):199–218.

*Jung, PY., Sim, HS., & Yim, D. (2012). The effects of parent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ve abilities of the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heir mother.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47(1):39–62.

*Kim, DK., & Kim, HJ. (2019).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 using the photo-centered class note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mother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21(1):117–141.
crossref
*Kim, EK. (2003).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 on Communicative Behaviors of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3(2):177–204.

Kim, H., & Jeong, E. (2013). Research trends on parent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5(3):381–407.
crossref
Kim, JH., Lee, SH., & Cho, EY. (2021). A systematic review of the auditory training program for hearing impairment.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7(2):134–146.
crossref
*Kim, JM., & Lee, SH. (2007). The Effect of “It Takes Two to Talk” Program on Communicative Abilities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heir Parent’s Behavior.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 12, 607–624.

Kim, JM., & Mahoney, J. (2013). Parent-child interaction behavior evaluation. Seoul: Hakjisa.

Kim, JY. (2008).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1):209–231.

Kim, JY., Lee, KJ., Kim, ES., Kim, JH., & Park, JY. (2005).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perceived by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 qualitative inquir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Disorders. 10(1):58–81.

*Kim, KY., & Park, EH. (2013). The effect of the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on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of par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13(1):119–148.

Kim, M. (Executive Producer)(2018). Effects of fathers on child development. Seoul: Korea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EBS).

*Kim, MJ., & Ok, JD. (2005). The effects of parent program in stuttering childre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6(4):257–276.

*Kim, YS., & Shin, MJ. (2016).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 on reducing disfluencie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Special Education Research. 15(3):59–74.
crossref
Kim, YT., Kim, KH., Yoon, HR., & Kim, HS.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Special Education.

King, A., & Xu, Y. (2019). Caregiver coaching for language facilitation in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hearing los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19.
crossref
Ko, G. (2017).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early childhood parents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4):433–459.
crossref
*Kown, ME., & Shin, HK. (2010).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strategy training on verbal interaction styles and interactive reading time between mothers and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1(3):551–581.

Kwon, DH. (2010). The history of speech pathology in Korea.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10, 1–10.

Lee, EK., & Seok, DI. (2006). The contents of parent education about parent participation style for children with speech-language disorder.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15(4):33–48.

*Lee, EK., & Seok, DI. (2007). Effects of parents-centered speech intervention program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Speech Sciences. 14(3):147–160.

*Lee, KJ., & Song, JM. (2008). The effects of small group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interaction behavior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2(4):1–25.

*Lee, SB., & Seo, EJ. (2002). An application case study o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7(1):341–368.

Matson, ML., Mahan, S., & Matson, JL. (2009). Parent training: a review of method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3(4):868–875.
crossref
Moher, D., Shamseer, L., Clarke, M., Ghersi, D., Liberati, A., Petticrew, M., ... Stewart, LA. (2015).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s (PRISMA-P) 2015 statement. Systematic Reviews. 4(1):1–9.
crossref pmid pmc
Moon, SJ., & Kim, SG.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3(3):1–16.

Moore, C., & Dunham, PJ. (1995). Joint attention: its origins and role in development.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Oh, HJ. (2008). The effects of parents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mothers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1):347–366.

*Oh, YS., Kim, JM., & Lee, SH. (2008). The effect of dialogic reading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8, 139–154.

Pae, S., & Kwak, K. (2011).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user’s guide and technical manual. Seoul: Mindpress Publishing Co.

Park, HJ. (2017).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by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1998-2015.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26(1):131–143.
crossref
Roberts, MY., Kaiser, AP., Wolfe, CE., Bryant, JD., & Spidalieri, AM. (2014). Effects of the teach-model-coach-review instructional approach on caregiver use of language support strategies and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skill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5):1851–1869.
crossref
Seo, KW., & Moon, HK. (2017). Method logical quality of meta-analyses on the multi-cultur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8):211–223.

Seo, SW., & Lee, DK. (2014).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on a child’s social development: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9(2):157–178.

Shin, YJ., & Kim, HS. (2011). Parent education. Seoul: Hakjisa.

Steiner, AM., Koegel, LK., Koegel, RL., & Ence, WA. (2012). Issues and theoretical constructs regarding parent educa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2(6):1218–1227.
crossref pmid
Sussman, F. (2012). More than words: a parent’s guide to building interaction and language skill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r social communication difficulties. Toronto: The Hanen Centre.

Weitzman, E. (2017). It takes two to talk: a practical guid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Toronto: The Hanen Centre.

Whitehurst, GJ., Arnold, DS., Epstein, JN., Angell, AL., Smith, M., & Fischel, JE. (1994). A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in day care and home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Developmental Psychology. 30(5):679–689.
crossref
*Yim, D., Kim, S., Han, J., Park, W., Song, E., Lee, S., ... Yoon, S. (2018). Intervention and transfer effect of parent training on book reading: parent use of reading strategies, child utteranc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skill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53(2):179–206.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Department of Speech Pathology, College of Rehabilitation Sciences, Daegu University,
Daegudae-Ro 201, Gyeongsan-si, Gyeongsangbuk-do 38453, Republic of Korea
Tel: +82-502-196-1996   Fax: +82-53-359-6780   E-mail: kjcd@kasa1986.or.kr

Copyright © by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Developed in M2PI